경제·금융

북제의 ‘3+1’ 회담 정부,반대입장 전달

◎“4자회담 참석전 식량지원·제재해제 노린것”정부는 북한이 4자회담을 남북한과 미국이 참석하는 3자회담을 먼저 연뒤 여건이 조성되면 중국을 참여시키자고 제의한 것과 관련, 이를 수용하지 않기로 했다. 외무부 당국자는 24일 『북한은 20일 뉴욕에서 개최된 3자설명회 후속회의 비공식접촉에서 남북한과 미국이 3자회담을 갖고 모든 이견을 해소한 후 중국이 참여하는 「3+1」 형식으로 4자회담을 진행하자고 제의했다』면서 『우리 대표단은 이에 대해 분명한 반대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북한의 제의는 4자회담에 참석하기 전에 한미 양국으로부터 식량지원과 경제제재 해제를 보장받겠다는 의도에 불과하다』면서 『중국도 남북한과 미국이 4자회담 예비회담의 일시, 장소와 대표단수준 등에 합의하면 이를 그대로 수용해 예비회담에 참석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한성렬 유엔주재북한공사는 이에 앞서 23일 하오(미국현지시간) 북한이 「3+1」 방식을 제의한 이유로 『4자회담에 대한 신뢰조성을 위해 북한의 법적, 정치적 지위가 해결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남한이 미국, 중국과 국교관계를 수립한 반면 북한은 미국과 국교가 없고 경제제재조치를 당하고 있어 불공평하다며 시정을 요구한 것이다. 북한의 이같은 주장은 결국 한국과의 대화에 별 의미를 두지 않으면서 미국과의 양자관계 개선에 주력해온 그간의 태도가 조금도 달라지지 않았다는 점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한미 정상이 제의한 4자회담의 구도를 변형시켜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의 초점을 흐리게 만들면서 한미 양국의 이니셔티브에 흠집을 내려한다고 보고 있다. 4자회담을 공식 수락하기에 앞서 장애와 난관을 조성함으로써 한미 양국으로부터 식량원조 등을 보다 많이 확보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는 분석도 대두되고 있다.<임웅재>

관련기사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