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신용대출 금리 7%대 돌파…금융위기 수준

예금금리는 되레 하락 …"서민 이자고통에 기름 붓기"

신용대출 금리가 7%대를 돌파함에 따라 서민들의 이자 고통은 가중되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연 6.07%였던 신규 신용대출 금리는 올해 1월 7.23%로 급등했다.

신용대출은 일반신용대출과 아파트 계약자들을 위한 집단대출로 나뉘는데, 일반신용대출은 연 8.16%까지 치솟았다. 연 8% 이하로는 은행 창구에서 신용대출을 받기 어렵다는 의미다.


최근 5년간 신용대출 금리가 가장 높았던 때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어닥친 2008년 11월로 연 8.06%에 달했다.

관련기사



이후 한은의 통화 확장정책이 본격화하자 신용대출 금리는 같은해 12월 연 7.94%, 2009년 1월 5.93%로 빠르게 떨어졌다. 이후 지난해까지 3년 동안 연 5~6%대를 유지했다.

상승폭은 작지만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꿈틀대고 있다.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올해 들어 0.11%포인트 상승해 연 5.06%로 올라섰다.

주택ㆍ신용대출 금리가 동반 상승하자 지난해 말 5.37%였던 가계대출 금리는 올들어 5.80%로 뛰어올랐다. 이 또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은행의 수신금리만 놓고 보면 대출금리 상승은 비정상적이다.

은행 수신의 양대 기반인 정기예금(1년 만기)과 은행채 금리는 올해 들어 각각 0.05% 떨어졌다. 예금금리는 낮춰 돈은 더 싸게 조달하면서 대출금리만 높인 것이다.

은행 관계자는 "새해 들어 리스크 관리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지점장 전결금리 등 대출금리 인하 요인을 없앴다. 연말 실적관리를 위해 지난해 말 대출금리를 낮춘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