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CEO 릴레이 인터뷰] 이원태 수협은행장

해양·수산금융 특화 서비스

영세 자영업자 지원 늘릴 것

저원가성 예금 비중 늘려 조달구조 개선·고객 확보


이원태(사진) 수협은행장은 수협중앙회 출범 이후 반세기 만에 이뤄지는 사업 분할(경제사업과 금융사업 분리)을 주도해야 하는 중책을 맡고 있다. 오는 2015년 7월 수협은행을 중앙회 산하 별도 자회사로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올해는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 확충'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 행장은 14일 서울경제신문과 신년 인터뷰에서 "수시입출금식 예금 등 저원가성 예금의 비중을 확대해 조달 구조를 개선하고 다양한 금융상품으로 고객 기반을 넓혀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직까지는 지방은행 수준의 자산 규모에 머물고 있지만 2017년까지 시중은행 이상의 경쟁력을 확충하기 위해 차근차근 체질 개선에 나서겠다는 의미다. 지난해 4월 이 행장 취임 이후 '5,000만 국민 누구나 쉽게 거래할 수 있는 은행'이라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행장은 덩치 큰 시중은행과 경쟁을 위한 해법을 해양·수산금융 특화 서비스, 틈새시장 공략 등에서 찾고 있다. 그는 또 "어린이집 대출(잔액 9,838억원)의 경우 해당 시장의 30%를 점유할 정도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시중은행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영세 자영업자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소매금융을 확대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사업 분할을 앞두고 자본 확충에 대비하는 것도 올해 중점 과제다.

관련기사



수협은행은 2016년 12월 바젤3 자본 규제 적용에 대비해 필요한 자본금이 모두 1조9,380억원이다. 이 중 공적자금으로 투입된 1조1,581억원은 보통주로 전환하는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이 행장은 "부족 자본금 7,800억원 중 2,800억원은 중앙회와 회원조합으로부터 출자 및 자구노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나머지 5,000억원가량은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부분인데 내년도 예산안 반영을 목표로 주무부처를 부지런히 찾아다니며 설득작업을 진행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올봄 지방선거를 앞두고 뜻하지 않게 수협은행의 부산 이전 문제가 정치권의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정책금융개편안에 따라 정책금융공사의 부산 이전이 사실상 어려워지자 그 대안으로 수협은행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

이 행장은 "정금공과 수협은행 중 어느 기관이 부산으로 이전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전제, "당초 선박금융공사를 부산에 설립하려고 했던 취지에 충실히 부합하는 소프트웨어의 충족이 선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행장은 "선박금융 업무 수행을 위한 자본 지원 및 손실 보전 완충장치 등의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단순히 부산으로 가는 것만으로는 이전에 따른 실익이 없을 것"이라고 덧붙여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