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고위공직자 재산 공개] 경제부처

재산증가분, 아파트값 상승이 대부분


정부의 경제정책을 관장하는 경제부처 공직자들은 의외로 재산변동분이 그리 크지 않아 눈길을 끈다. 경제부처의 ‘맏형’ 격인 기획재정부의 경우 배국환 제2차관의 재산이 12억2,279만원으로 신고돼 1년 전보다 5,811만원 늘었다. 김동수 재정부 차관보는 6억627만원으로 전년보다 1,483만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그러나 배우자 명의의 예금이 5,121만원 늘었으며 이 중 미래에셋증권에서 5,000만원가량이 증가했다. 반면 김 차관보는 유가증권에서 4,934만원을 잃어 대조를 이뤘다. 이희수 세제실장의 재산은 총 7억8,870만원으로 5,311만원이 불었다. ‘나라 곳간 열쇠’를 쥐고 있는 이용걸 예산실장은 총 40억1,875만원(전년 대비 5억3,964만원 증가)으로 재정부 다른 고위공직자에 비해 비교적 큰 규모로 늘었다. 이 실장은 서울 송파구에 있는 본인과 모친 명의의 2채 아파트 가액변동으로 약 6억원의 재산증식 효과를 봤다. 지식경제부도 비슷한 상황이다. 임채민 지식경제부 제1차관의 재산이 10억4,976만원으로 5,856만원가량 늘었다. 투자상품의 이자가 늘고 부인 소유의 예금이 4,218만원가량 증가했다. 이재훈 제2차관도 15억9,971만원으로 전년보다 5,966만원 많아졌다. 본인 소유의 대치동 아파트 가격이 10억8,000만원으로 2억1,200만원 오른 게 눈에 띈다. 김영학 산업경제실장은 재산이 11억29만원에서 10억7,149만원으로 오히려 2,879만원 줄어 관심을 모았다. 처음 신고 때 본인 명의의 잠원동 아파트 가격을 잘못 기입한 것이 수정되면서 2,100만원이 감소했다. 이밖에 중앙은행인 한국은행 이성태 총재는 지난 1년간 아파트 가격 상승과 이자 수입 등으로 2억7,700만원이 증가한 것으로 신고됐다. 서울 동작구 소재 본인 소유의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고 수익증권 평가금액도 늘어 이 같은 변동이 생겼다. 이승일 부총재는 총재산이 25억9,624만원으로 경기도 용인시 기흥 소재 본인 소유의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고 예금이 증가하면서 1년 전보다 2억2,194만원이 늘었다. 한상률 국세청장의 재산가액은 6억2,154만원으로 5,600만원 정도 상승했다. 아울러 본청 청장과 차장, 6개 지방청장 중 최대 자산가는 김창섭 대전지방국세청장으로 전년보다 2억1,430만원 늘어난 46억1,326만원을 신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