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작년11.4% 성장 13년만에 최고 기록

5년 연속 두자릿수 고공행진<br>물가상승률은 4.8% 달해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1.4%로 1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중국경제가 5년 연속 10% 이상의 초고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지난해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11년만의 최고치인 4.8%로 최고치로 치솟았다. 셰푸잔(謝伏瞻) 중국 국가통계국장은 24일 베이징(北京)의 국무원 신문판공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24조6,619억위안으로 전년에 비해 11.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지난해 GDP 증가율은 전년에 비해 0.3%포인트 상승했으며, 지난 1995년 이후 13년만에 최고치를 갈아치운 것이다. 셰 국장은 "중국의 지난 5년간 평균 GDP 성장률은 10.6%였다"면서 "이는 다른 나라에서 볼 수 없는 대단한 기록"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분기별 GDP 성장률은 1ㆍ4분기 11.1%, 2ㆍ4분기 11.9%, 3ㆍ4분기 11.5%, 4ㆍ4분기 11.2%를 각각 기록, 2ㆍ4분기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소폭의 감속 흐름을 보였다. 또한 지난해 12월 고정자산투자증가율은 25.8%로 전월에 비해 1%포인트 둔화됐으며 12월 소매판매는 20.2%로 전월에 비해 1.4%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지난해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해의 1.5%에 비해 세 배 이상 높은 4.8%를 기록, 물가불안이 위험수위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셰 국장은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11년만에 최고치인 4.8%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12월에는 6.5% 올랐다"며 "항목별로는 식품가격이 12.3% 오르고 부동산 가격이 4.5% 오른 것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의 주요 요인이 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특히 물가 파급효과가 큰 식용식물유 가격의 상승은 지난해 국제가격이 100% 상승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국제가격의 상승폭이 국내물가에 고스란히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물가불안이 앞으로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베이징의 한 경제 전문가는 "지난해 12월 물가 수준이 전월에 비해 소폭 둔화됐으나 내달 춘절(春節ㆍ설날)이 있고 국제 곡물가 수준이 높아 물가불안이 쉽사리 해소될 것 같지 않다"면서 "1ㆍ4분기에 CPI 증가율이 7%을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