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 설비투자 갈수록 감소

■ 전경련 400대기업 조사하반기 15조로 상바기보다 2.8% 줄어 >>관련기사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하반기에 더 줄어들어 올해 전체적으로는 전년대비 10%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이 매출액기준 400대 기업(응답 235개)을 대상으로 조사, 18일 내놓은 '기업시설투자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하반기 설비투자는 14조9,682억원으로 상반기에 비해 2.8%, 연간으로는 30조3,731억원으로 지난해보다 9.3% 줄어들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투자전망과 관련, 제조업은 중화학공업(-10.0%)의 투자감소에 따라 상반보다 8.2% 감소한 6조5,793억원에 머무르고 비제조업은 1.9% 소폭증가에 그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관련, 유재준 전경련 팀장은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IT와 전기ㆍ전자 업종의 급감(-29.7%)이 결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축소 이유는 내수와 수출부진(25%), 전망 불투명(17%), 과잉시설 조정(15%)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중화학공업중 정유(132.2%), 조립금속기계(63.5%), 비금속광물(37.3%), 조선(36.6%), 1차금속(31.1%)등의 시설투자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전경련은 "기업들이 하반기 경기 불투명으로 기존 설비의 개보수를 중시하는 투자로 전환하거나 관망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특히 올해 정보화와 환경관련 설비투자 금액은 각각 3,753억원과 3,847억원으로 크지 않으나 상반기에 비해 각각 23.6%와 22.2%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업들은 시설투자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세제지원 강화(34%)를 첫번째로 꼽았고 자금조달 원활화(27%), 정부 규제완화(12%), 저금리ㆍ저물가정책 유지(10%)순으로 답했다. 이밖에 적정수준의 경기회복 노력과 정책일관성 유지, 사회간접자본(SOC) 분야에 대한 지출확대, 미국ㆍ일본의 금리정책에 맞춘 콜금리 인하, 환율안정등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세제지원과 관련, ▲ 투자세액공제 기간연장및 적용대상 확대 ▲ 준조세 부담금 폐지 ▲ 대기업에 대한 투자준비금 손금산입 허용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투자자재원 마련 대책으로는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의 탄력적 적용으로 금융회사의 기업대출기능을 늘리고 동일계열 신용공여한도 제한 완화가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기업들은 특히 투자의욕을 북돋우기위해 출자총액제한제도를 중장기적으로 폐지하고 기업ㆍ기업인 비하 분위기 해소, 산업현장의 불법행위에 대한 엄중한 법집행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고광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