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사태 개각후 최종접점" 가닥

"현대사태 개각후 최종접점" 가닥계열분리·자구안 연기…현대-정부·채권단 입장 ■ 현대 입장 당초 6일 자동차 계열분리 및 자구계획안 등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던 현대가 이를 미룬 것은 7~8일께 단행될 개각때 새롭게 들어서는 경제팀과 최종 접점을 찾기로 전략을 수정한 때문이다. 즉 현 경제팀에 히든카드까지 모두 내보였다가 새로운 경제팀이 추가안을 요구할 경우 더욱 어려운 처지에 몰리게 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함이란 분석이다. 이와 관련 현대는 현경제팀에 대해 쟁점사항들에 대한 내부 의견조율이 걸러지지 못한 채 언론에 보도되는 것도 사태해결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당초 공정위의 주장대로 계열분리안을 검토했으나 이용근(李容根) 금감원장이 지난주말 갑자기 ▲가신퇴진 ▲지배구조개선까지 요구하는 바람에 혼선을 빚어 지연된 것이 단적인 예라는 주장이다. 현대 관계자는 『채권단과 정부의 입장이 각각 달라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아무튼 이같은 현대의 입장에 따라 정몽헌(鄭夢憲)현대아산 회장이 방북에서 돌아오는 10일께는 돼야 현대사태가 일단락될 전망이다. 현대는 정부와 채권단이 강력하게 내세우고 있는 정주영(鄭周永) 전 명예회장의 현대차 지분 9.1%중 6.1% 매각방침을 수용키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문제는 매각방법과 시기. 채권단에 위임한뒤 일정시한까지 매각을 못할 경우 처분권까지 넘기는 백지위임방안과 순차적으로 매각하는 방안중 어떤 식이 될 지는 아직 점치기 어렵다. 다만 그동안 대안의 하나로 떠올랐던 우선주 전환방식이나 공익재단 출연방안은 일단 물밑으로 가라앉은 상황이다. 이와함께 시장에서 매각하는 방법도 단기적으로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감안, 채택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200만주에 달하는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면 주가하락 등 부작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현대는 정부가 추가자구책으로 요구하고 있는 현대건설과 현대상선이 보유한 계열사 주식매각과 정몽헌회장이 갖고 있는 현대상선, 현대전자 지분 매각에 대해서도 지배구조의 틀과 계열사간 연결고리가 송두리째 흔들리게 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연성주기자 SJYON@SED.CO.KR ■ 정부·채권단 입장 정부와 채권단이 현대 사태를 바라보는 시각은 단순하다. 더이상 현대문제가 금융시장의 주름살로 작용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자칫 이헌재(李憲宰) 현 경제팀은 물론 국정 수행능력에 대한 의심까지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특히 가신그룹의 퇴진과 오너일가의 사재출연을 포함한 강도높은 자구안에 대해서는 양보할 수 없다는 심산. 지난 4일 현대측의 잠정 자구안에 대해 퇴짜를 놓은 것도 사실 이 두부분에 대해 현대측이 명쾌한 해답을 내놓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용근(李容根)금융감독위원장이 6일 강도높은 자구계획 계열분리 지배구조개선 등 3개항에 대해 현대가 만족할만한 답변을 내놓지 못할 경우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까지 불사하겠다고 목청을 높힌 것도 같은 맥락. 정부는 특히 현대가 시장의 신뢰를 얻기위해서는 이번 기회에 정몽헌(鄭夢憲)회장 계열의 가신들을 퇴진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함께 현대자동차의 계열분리를 위해서는 정주영(鄭周永)전 명예회장의 지분매각을 통해 깨끗한 고리끊기를 이루어내, 현대건설의 유동성 문제가 다른 계열사로 파급되는 것은 최대한 차단하겠다는 의지다. 채권단이 현대건설의 유동성 해소를 위한 채권확보에 이번 압박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는 것과 대조띤 모습이자, 현대사태를 바라보는 정부의 태도가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정부의 이같은 입장과 관련, 다소 눈에 띄는 점은 개각을 앞두고 정부의 태도가 다소 바뀌고 있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 금감위 고위 관계자는 6일 『현대 문제는 어차피 개각 이후에나 결판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겉으로 나타난 강경입장과 달리, 현대문제의 최종 매듭풀기는 다음 경제팀으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는 내부 계산을 하고 있는 셈이다. 정부가 지난주말 현대와의 협의 과정에서 현대가 작성해온 자구책을 일단 거부하면서 『시간을 갖고 확실한 방안을 만들어 오라』고 주문한 것도 같은 맥락. 문제는 개각을 앞두고 벌어지고 있는 힘겨루기 과정에서 정부 부처간, 정부-채권단간에 손발이 맞지 않는 모습이 표출되고 있다는 점. 현대차 계열분리와 관련해 금감위와 공정위간에 막판 의견차가 생기고 있는 것처럼 비추어지는게 단적인 예다. 금감위가 시종일관 가신그룹 퇴진과 맞물려 鄭전 명예회장의 지분 6.1%도 반드시 매각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공정위는 채권단위임 방안 등 다소 유인한 입장으로 선회한듯한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김영기기자 YGKIM@SED.CO.KR입력시간 2000/08/06 18:44 ◀ 이전화면

관련기사



연성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