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교 평준화가 '무긴장·무경쟁 학교문화' 만들어"

문용린 서울대교수 비판

“35년간의 고교 평준화 제도가 일류고를 폐지시켜 사람들의 속을 후련하게 해주기는 했지만 무긴장, 무경쟁의 학교문화를 형성하는데 일조했다.” 문용린 서울대 교수(전 교육부장관)는 26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개원 10주년 기념 ‘21세기 학교교육 선진화 방안 모색을 위한 국제학술세미나’에서 35년 동안 이어져온 고교 평준화제도의 문제점을 신랄히 비판했다. 문 교수는 한국교육 60년을 평준화 이전시기 25년(1948~1973년)과 평준화 이후시기 35년(1973~2008년)으로 구분했다. 평준화 이전 시기에는 학교간에 경쟁이 팽팽히 존재해 경쟁력이 있는 학교와 없는 학교의 구분이 생겼다는 것이다. 학교간 경쟁으로 교사들도 경쟁적으로 학생을 가르치고 지도할 수 밖에 없어 학생과 학부모들은 학교와 교사를 신뢰하게 되고 학교 밖의 사교육에 별로 눈을 돌리지 않아도 됐다는 게 문교수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