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입 속의 보물, 치아 이야기] 임산부의 치과 치료

임플란트 등 큰 치료 빼곤 출산 뒤로 미룰 필요 없어


저출산 시대에는 임신과 출산이 가장 큰 애국이라는 말이 있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임산부는 모두 애국자인 셈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얼굴을 잔뜩 찡그리고 치과를 찾는 임산부를 많이 보게 된다. 통증을 참을 만큼 참다 더 이상 견디기 힘들어 치과를 찾기 때문이다. 소중한 아기를 위해 어지간한 불편함은 꾹 참고 모든 치과치료를 출산 후로 미루겠다는 생각이지만 진정 아기를 위한 것이 어떤 것인지 따져봐야 한다. 임신을 하면 많은 변화가 찾아온다. 우선 임신 초기에는 입덧을 한다. 잦은 구토로 입 안의 산도가 증가하면 치아나 잇몸에 안 좋은 영향을 준다. 입덧이 끝난 후에는 식욕이 왕성해져 음식물 섭취 횟수가 많아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배가 불러 몸을 구부리는 것이 힘들어지면서 양치질을 소홀히 하게 된다. 임산부에게 치아를 깨끗이 유지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호르몬도 치아에는 마이너스다. 임신을 하면 여성호르몬의 양이 점점 증가한다. 호르몬이 몸에는 중요한 작용을 하지만 구강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혈관벽의 변화를 가져와 잇몸을 빨갛게 만들거나 점막의 방어 기능을 약화시켜 잇몸을 쉬이 붓게 만든다. 입덧과 요통 등 온몸이 힘든 임산부에게 입 속까지 신경 쓰라고 주문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가혹하다. 그러나 잇몸질환이나 충치를 방치했다 심한 통증에 음식물을 먹는 것도 방해 받으면 태아도 엄마와 같이 스트레스를 느끼고 엄마로부터 받는 영양분마저 부족해질 수 있다. 임신을 했다고 모든 치과치료를 미룰 필요는 없다. 임플란트 등 비교적 큰 치료는 가능하면 출산 후로 연기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임신 2기인 임신 4~6개월 정도에는 비교적 안전하게 대부분의 치과치료를 받을 수 있다. 치료 전 임신 사실을 의사에게 얘기하고 투약이나 방사선 사진촬영, 치료자세 등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얼마든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안전한 치료를 할 수 있다. 구강관리는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여성에게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잇몸에 염증이 있는 상태에서 임신을 하면 염증이 더 악화되기 때문에 미리 스케일링을 받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고 올바른 칫솔질법과 치실 사용법을 익혀 몸에 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잇몸의 건강상태가 임신 성공률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최근 한 대학에서 시행한 연구에 따르면 임신을 시도해 임신이 되기까지의 기간이 건강한 치아를 지닌 임신부는 평균 5개월인 반면 치주염을 앓는 임신부는 평균 7개월이 걸린 것으로 조사됐다. 비만 여성이 정상 체중 여성보다 임신이 될 확률이 낮을 수 있다는 것은 흔히 알려져 있는데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잇몸 질환도 비슷한 수치로 임신율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아직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입 안의 염증이 생식계통 조직에 영향을 줬기 때문으로 해석한다. 엄마가 행복해야 뱃속 태아도 편하고 행복하다. 산모가 찡그린 얼굴로 통증을 참고 견디기보다는 치과의사와 상담 후 치료를 통해 건강한 치아와 잇몸을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한 태교일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