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가구구입 한달 지나도 새집증후군 위험 여전"

국립환경과학원 "유해물질 30%밖에 안줄어"


침대ㆍ식탁ㆍ소파 등 가구를 구입한 지 4주가 지나도 새집증후군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의 방출량이 30%밖에 줄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침대, 장롱, 소파, 식탁, 사무용 책상, 소형 탁자 등 6개 종류의 가구에 대해 4주간 포름알데히드의 시간당 방출량을 측정한 결과 마지막 날 평균 방출량은 1일째의 70.3% 수준인 것으로 측정됐다고 4일 밝혔다. 제품별 방출량 감소 비율을 보면 식탁이 43%로 가장 높았고 침대 39%, 장롱과 소형 탁자 각각 34%, 소파 26%, 사무용 책상 10% 등으로 모두 절반을 넘지 못했다. 포름알데히드는 메탄올의 산화로 생기는 자극성이 강한 기체로 주로 합판이나 하드보드 등 나무로 만든 제품에 접착제 등으로 사용돼 아토피성 질환이나 암 등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과학원은 “새 가구를 구입했다면 한 달 넘게 충분히 환기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양문형(2도어용) 냉장고, 김치냉장고, 벽걸이용 텔레비전, 진공청소기 등 전자제품 4종에 대해 가동 전과 가동 중으로 나눠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량도 조사했다. 진공청소기의 경우 가동 중의 방출량이 가동 전에 비해 최고 101.44배까지 증가했으며 양문형 냉장고와 김치냉장고의 방출량은 각각 2.73배, 1.66배 늘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