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하나되어 만든 쾌거… '더 큰 대한민국' 도약 발판으로

[PyeongChang2018] <br>4대 스포츠축제 유치, 국운넘어 국격상승 기대<br>경제 효과 65조 추정… 잠재성장효과는 더 커<br>레저·관광산업 활성화, 경제체질도 확 바뀔듯


2011년 7월7일 0시17분. 자크 로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의 손에 들린 'PYEONGCHANG 2018'은 대한민국을 하나로 만들었다. 반값 등록금도, 감세 논쟁도, 친이ㆍ친박도, 여야도, 노사도 이 순간만큼은 하나 된 목소리도 'Yes 평창'을 외쳤다. 평창동계올림픽은 하나 된 대한민국이 '더 큰 대한민국'으로 뛰어오를 수 있는 발판이다. 눈에 보이는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하나 된 국민이 최상의 안보'라고 말했듯 잠재적인 성장효과는 상상을 초월한다. 특히 동계올림픽이 선진국들만의 잔치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겨울스포츠 축제를 개최한다는 것은 대한민국이 이미 선진국의 문턱을 넘어섰다고도 말할 수 있다. 여기다 미국도 못한 국제스포츠대회 유치의 그랜드슬램을 이뤘다는 점은 우리나라 국격을 또다시 한 단계 높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의 성공에 이어 대한민국의 품에 안긴 평창동계올림픽은 국운(國運) 상승을 넘어 국력(國力)을 한층 강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평창동계올림픽은 스포츠 축제만이 아니다=대한민국의 위대한 도전은 1981년 발걸음을 뗐다. 독일 바덴바덴에서 서울은 일본의 나고야를 제치고 1988년 여름 올림픽을 유치하며 가난한 분단국가에서 개발도상국의 총아로 떠올랐다. 2002년 월드컵은 우리보다 먼저 유치에 들어간 일본과 경쟁 공동개최를 따내며 '붉은 악마'로 상징되는 역동적인 대한민국의 모습을 보여줬다. 올림픽과 월드컵 등은 단순한 스포츠 축제만의 의미를 넘어선다. 88올림픽이 우리나라 국민소득(1인당 GNI) 5,000달러 돌파의 발판을 만들어줬다면 2002년 월드컵은 2만달러 돌파를 향한 촉매 역할을 했다. 우리뿐만 아니다. 중국은 베이징올림픽을 기반으로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뛰어올랐으며 수십년간 중국인의 가슴속에 맺혀 있던 서구 콤플렉스를 벗어날 수 있었다. 특히 지난해 상하이엑스포까지 이어지며 중국의 숙제였던 내수시장 활성화의 단초를 만들기도 했다. 우리 경제의 체질에도 평창은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지난 12년간의 유치노력에 인프라가 대부분 갖춰졌지만 추가 인프라 투자와 함께 레저ㆍ관광산업 등 정부의 내수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평창유치위원회는 "대회 개최를 통해 아시아 겨울 스포츠가 확산되면 평창은 아시아 겨울 스포츠의 관광의 허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평창 효과 우리 경제에 '40조~65조원' 플러스=주요 경제연구소들은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따른 직간접적 경제효과가 최소 약 40조원에서 최대 65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한다. 유치위원회에서는 29조3,000억원의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이는 경기장 건설 등으로 20조5,000억원가량의 생산유발 효과가 발생하고 경기장 운영 등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8조8,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별도의 간접경제 효과는 연구기관에 따라 최소 10조원대에서 최대 44조원선까지 다소 폭넓게 추산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7일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의의 및 효과' 보고서에서 간접경제 효과를 10조3,000억원으로 추정했다. 여기서 간접효과란 올림픽 유치에 따른 국가홍보(이미지 상승 효과)와 국내 기업들의 내수 및 수출 증대 등을 감안한 것이다. 특히 기업들의 이미지 상승 효과는 경제가치로는 3,210억원에 이르며 그에 따른 수출 및 내수 증대 효과가 10조원에 달한다는 주장이다. ◇축제 이후 역기능도 경계해야=올림픽 개최의 경제적 혜택이 일시적 효과에 그치지 않고 지속되도록 신경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88올림픽의 경우만 해도 해당 연도에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2%를 기록했으나 이듬해에는 6.8%로 떨어져 아쉬움을 사기도 했다. 이진면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올림픽 이후 상당수 경기장이나 레저시설 등이 홍보부족 등으로 사후관리가 미비하거나 운영이 안 되면 문제로 남게 된다"며 "올림픽 이후의 사후관리 문제에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평창 효과가 국내 다른 지역에도 골고루 미칠 수 있도록 지역 간 경제효과 불균형을 방지하는 것도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평창올림픽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쏟아부은 예산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국가재정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고언도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어 정부의 관심이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