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술개발 제품, 중소기업 성장 빠르게 견인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제품이 해당 중소기업의 성장을 빠르게 돕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은 14일 중소기업중앙회와 공동으로 실시한 ‘2013년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기술개발 수행 중소기업의 지난 2012년도 평균 매출액이 111억4,000만원을 기록, 2009년(80억원)보다 약 39.2%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기술개발 제품의 비중은 이들 평균 매출액의 27.8%, 평균 수출액의 24.7%를 차지, 2009년보다 각각 12.3%포인트, 5.8%포인트씩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술개발 제품이 해당 기업 성장에 견인차 역할을 한 셈.


이번 조사에 따르면 기술개발 수행 중소기업의 평균 업력은 14.1년, 평균 종사자수 32.2명이다. 2009년(30.9명)에 비해 종업원은 1명 남짓 늘었으나 매출액은 크게 늘었다. 업력 및 규모별로는 10~15년 미만 기업이 32.7%, 종사자수 10~19명 기업이 36.9%, 매출액 10~50억원 미만 기업이 44.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업종별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5.2%, ‘금속가공제품’ 10.9%, ‘출판업’ 8.4%, ‘전기 장비’ 7.6% 순으로 많았다.

기술개발 수행 중소기업의 2012년도 기술개발비는 평균 4억3,400만원, 매출액 대비 기술개발 투자 비율은 3.9%로 조사됐다. 전문인력은 평균 5.7명, 부족률은 6.0%로, 2009년(6.1명, 7.6%) 보다 인력은 줄었지만 부족률은 개선됐다.다만 소기업의 경우 전문인력 부족률이 7.4%로 중기업 3.4%보다 매우 높게 나왔다.


기술개발 수행 중소기업의 개별 기술능력 수준은 세계 최고 대비 평균 77.4% 수준으로 평가됐다. 특히 제조·가공 능력(79.8%)과 생산관리 능력(79.0%), 제품설계 능력(77.5%)은 높게 조사된 반면 제품기획 능력(76.2%)과 디자인 능력(75.3%)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됐다.

관련기사



중소기업의 지식재산권 보유 비율은 76.7%, 기업당 평균 11.3건으로 2009년 65.8%, 8.7건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중소기업에게 가장 필요한 개발기술 사업화 지원제도는 ‘기술평가 기반 사업화 자금지원’ 36.7%, ‘신기술 제품의 우선구매 지원’ 16.5%, ‘생산 양산에 필요한 전문인력 지원’ 13.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술개발 성공요인으로는 ‘CEO 의지’ 28.7%, ‘기술개발 인적자원’ 17.6%, ‘기술개발 경험’ 15.9% 순으로 꼽혔다.

최근 2년간 기술유출 피해를 경험한 기업은 7.0%로, 2009년∼2010년(7.9%)보다 소폭 감소했다. 대기업으로 부터 핵심기술 이전 요구를 받은 기업은 3.4%로 나타나, 2009년∼2010년(6.2%)에 비해 많이 줄었고, 기술이전을 요구 받은 기업 중 48.3%가 핵심기술을 제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의 자체 기술개발 애로 요인은 ‘기술개발자금 부족’ 30.4%, ‘기술개발 인력확보 곤란 및 잦은 이직’ 25.2% 순으로 많이 꼽혔으며,기술개발 성공 후에는 ‘사업화 자금 부족’ 31.7%, ‘개발 제품의 높은 가격 수준’ 15.2%, ‘판매시장 부족’ 12.3% 등이 애로사항으로 지적됐다.

중기청의 한 관계자는 “이번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결과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사업화 촉진과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요한 R&D자금 및 사업화 지원 확대, 전문인력 확보, 판로지원 등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조사주기도 2년에서 매년 실시로 변경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성과 제고를 위해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중소기업 기술통계 조사는 지난해 9월2일부터 10월25일까지 5인∼300인 미만의 기술개발 수행 중소기업 2,0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