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평화협정 회담' 공식제의

SetSectionName(); 北 '평화협정 회담' 공식제의 권대경기자 kwon@sed.co.kr 북한 외무성이 11일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기 위한 회담을 공식 제안했다. 외무성은 이날 성명을 내고 "조선전쟁(6ㆍ25) 발발 60년이 되는 올해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기 위한 회담을 조속히 시작할 것을 정전협정 당사국들에 정중히 제의한다"고 밝혔다. 특히 외무성은 '위임에 따라' 이같이 제의했다고 밝혀 제안 내용이 북한 최고기구인 국방위원회 또는 최고통치권자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결정임을 암시했다. 성명에서 외무성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한 회담은 9ㆍ19공동성명에 지적된 대로 별도로 진행될 수도 있고 그 성격과 의의로 보아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조미(북미)회담처럼 조선반도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의 테두리 내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북한이 성명에서 회담 당사국을 일일이 거명하지 않아 기술적으로는 중국ㆍ미국, 그리고 북한의 3자회담을 제의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지난 1953년 당시 정전협정의 서명자가 마크 클라크 유엔군 사령관과 김일성 북한군 최고사령관, 펑더화이(彭德懷) 중국 인민지원군 사령관의 미ㆍ북ㆍ중 대표자들이었기 때문. 그럼에도 지난해 12월 스티븐 보즈워스 미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방북했을 때 북ㆍ미 양국이 평화협정 협상의 당사국은 남ㆍ북ㆍ미ㆍ중 4자라는 데 공감을 이룬 것으로 알려져 4자 간 회담에 무게를 둘 수 있다는 해석도 만만치 않다. 따라서 관련국들이 북측의 제의에 동의한다면 6자회담과의 별개 트랙에서 논의가 진행되거나 6자회담 틀 내에서 평화협정 회담을 진행되는 방안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정부의 한 당국자는 "한국은 정전협정 당사자"라며 평화협정 논의의 당사국임을 분명히 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평화협정 논의는 9ㆍ19 공동성명에 나오는 대로 비핵화의 진전이 추동력을 얻을 때 6자회담과는 별도의 포럼에서 논의할 수 있다"며 "(평화협정 우선 논의의) 북측 입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