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서울체신청, 내달 서울·경인청으로 분리

우정사업본부 30년 숙원 풀었다

다음달이면 서울체신청이 서울체신청과 경인체신청(가칭)으로 분리돼 8개 체신청 체제가 9개로 늘어난다. 이로써 우정사업본부는 30년의 숙원을 풀게 됐다. ★관련기사 4면 18일 지식경제부ㆍ행정안전부ㆍ우본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982년 중부체신청이 폐지되면서 경기체신청과 통합됐던 서울체신청을 다시 서울과 경기로 분리할 계획이다. 서울과 수도권 지역으로 나눠 각각 서울체신청ㆍ경인체신청으로 분할하는 방안이 유력하며 한강 이남과 이북으로 구분하는 안도 검토되고 있다. 정부의 한 핵심관계자는 “지식경제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를 개정해야 하기 때문에 다음달에 조직개편이 완료될 것으로 본다”며 “그간 우정사업본부 내부적으로뿐 아니라 과거 정보통신부 등 여러 부처에서 고민했던 문제가 드디어 해결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나치게 방대한 조직으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졌던 서울체신청 문제가 다소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체신청은 서울특별시ㆍ인천광역시ㆍ경기도 일원의 우체국을 관할하다 보니 업무가 과중했다. 특히 현재 본부 국장급에 해당하는 고위공무원인 이계순 서울체신청장 아래 직원들은 총 2만여명으로 전체 3만1,000여명의 우본 직원 가운데 3분의2나 차지하고 있다. 조직개편이 완료되면 서울체신청과 경인체신청이 각각 1만명씩으로 나뉘게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