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접는 OLED디스플레이 상용화 눈앞

GE 생산시스템·시제품 공개… 의복·대형 조명 등 활용도 높아

아닐 더갈 GE OLED리서치팀장이 연구실 복도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된 OLED 디스플레이를 펼쳐 보이고 있다.

신문처럼 접을 수 있고 벽지처럼 한 쪽 벽 전체를 발라 조명장치로 활용이 가능할 정도로 얇고 유연한 OLED 디스플레이의 상용화가 눈 앞에 다가왔다. 세계 최대 복합기업 제너럴일렉트릭(GE)의 두뇌인 GE 글로벌 리서치센터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뉴욕주 니스카유나 본부에서 전세계 언론기관 등을 초청한 가운데 '2010년 조명산업 심포지엄'을 갖고 신문 인쇄 형태와 유사한 '롤 투 롤(roll to roll)' 방식의 OLED 디스플레이 생산시스템과 시제품을 함께 공개했다. OLED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에 전류가 흐를 때 스스로 빛을 내는 얇은 자체 발광형 유기물질. GE가 선보인 OLED 디스플레이는 두루마리 형태로 투명전자를 입힌 플라스틱에 OLED를 장착한 것으로 앞쪽은 플라스틱 뒷 쪽은 은박지처럼 얇은 알루미늄이 덧대어 있다. 이 제품은 안전을 위한 환경미화원의 작업복부터 패션제품, 가정용 장식 및 조명, 건물외벽의 대형 조명까지 활용도가 매우 넓다. GE는 지난 2008년 OLED로 제작한 크리스마스 트리를 공개해 세계의 눈길을 끌기도 했다. 현재 연간 650억달러 규모로 향후 5년간 연간 5% 이상의 고성장이 예상되는 세계 조명시장의 패권은 누가 친환경 최첨단 제품을 선점하는 가에 달려 있다. 에너지 소비와 생산과 사용과정에서 이산화탄 배출이 많은 제품들은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아닐 더갈 GE OLED 리서치 팀장은 "유연한 OLED디스플레이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패널을 사용하면서도 물과 산소로부터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며 "화학, 전자, 에너지 등 각 분야의 기술을 총망라 하는 시너지를 통해 이 같은 난제들을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상용화의 또 다른 큰 걸림돌이었던 경제성도 큰 진전을 보고 있다. 아닐 더갈은 "과거 1㎡의 OLED를 생산하는 데 수백만 달러가 소요됐지만, 지금은 상용화가 가능한 40달러 수준까지 낮출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