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남 지자체들 '맞춤사업' 올인

고성-조선특구·창원-해양신도시·거창-화강석 특화육성

경남 거창군의 한 근로자가 화강석을 가공하고 있다.

경남 지방자치단체들이 올해 들어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사업에 팔을 걷어 부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출범한 민선 4기 단체장들이 새로운 시각으로, 색깔 있고 특색 있는 스타 지자체를 만들겠다는 계산으로 보인다. 도시, 농촌 할 것 없이 자치단체마다 고장의 특성을 살린 각종 아이디어들이 경연장을 방불케 하고 있다. 6일 관련 자치단체들에 따르면 고성군은 지역경제를 살리고 인구 10만의 신도시 건설을 위해 지난해 12월 26일 조선산업 특구 지정을 신청했다. 올해는 이를 바탕으로 천혜의 조선산업 입지조건과 내륙교통의 요충지인 점을 이용, 남해권역 조선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해 신조선 산업의 핵심 축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창원시는 쾌적한 도심 조성과 경남 수부(首府) 도시의 자존심을 지켜 나가기 위해 환경수도 조성을 선언하고 나섰고 마산시는 꿈의 항만도시 육성을 위한 해양 신도시 건설로 옛 화려했던 시절의 부활을 꿈꾸고 있다. 거창군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특산품인 거창화강석 특화 육성에 ‘올인’하고 있다. 연간 1,500억여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데다 2,000여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지역 으뜸 산업으로 올해 말까지 홍보ㆍ판매 등 7개분야 23개 세부사업에 34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우리나라 청정지역 대명사로 알려지고 있는 산청군 역시 올해부터 친환경농업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로 지역 농산물을 브랜드화 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90년도부터 무농약 쌀 생산으로 친환경 농업의 태동지로 알려 진 것을 계기로 지난해 말에는 농림부 주관 친환경광역농업단지 심의에서 사업 대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의령군 역시 지난해 7월 김채용 의령군수가 취임식장에서 “농민은 생산에만 전념하고 판매는 군청에서 책임지겠다”고 천명했다. 군은 2010년까지 300억원을 투입, 농ㆍ축ㆍ특산물을 브랜드화하고 명품화를 위해 생산, 유통, 홍보 분야를 종합적으로 묵는 패키지 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이밖에도 하동군은 지역 특화 사업으로 한 갈사만 개발계획을, 함양군의 ‘1가구 1억 부자 만들기’, 우포늪이 있는 창녕군은 람사총회를 계기로 한 친환경 경영에 힘을 쏟기로 하는 등 경남 지역 지자체들의 특화 사업과 브랜드화에는 지역특색에 맞게 지역경제를 살리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