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도시근로자 소득 불균형 여전

소비증가율 5분기째 하락외환위기 이후 심화된 소득격차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기침체로 도시근로자가구의 소비지출 증가율이 5분기째 떨어지고 하락폭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지난해 4ㆍ4분기 및 연간 도시근로자가구의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소득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지난해 연간 0.317로, 소득이 가장 많은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눠 계산하는 소득배율은 5.32로 각각 집계됐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 99년의 0.320과 5.49에 비해 다소 낮아진 것이나 외환위기 이전인 97년의 0.283, 4.49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소득불균형 구조가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줬다. 지니계수는 0일때 완전 평등을 의미하고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커지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함께 지난해 4ㆍ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164만7,000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4.7% 증가했다. 소비지출 증가율은 99년 3ㆍ4분기 17.9%를 기록한 이후 4ㆍ4분기 14.3%, 지난해 1ㆍ4분기 12.7%, 2ㆍ4분기 11%, 3ㆍ4분기 10.4%에 이어 5분기째 하락했다. 소비지출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식료품비가 지난해 4ㆍ4분기 1.1%의 낮은 증가율을 보였고 교양오락비 지출도 증가율이 2.3%에 그쳤다. 그러나 이동전화요금, 정보통신이용료등에 대한 꾸준한 증가로 최근 2년동안 30%안팎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던 통신비는 4ㆍ4분기에도 31.2%의 증가세를 지속했다. 지난해 연간 도시근로자가구의 월평균소득은 238만6,900원으로 전년에 비해 7.3% 증가했다. 월평균 가계지출은 188만8,200원, 소비지출은 161만4,800원으로 전년에 비해 각각 9.1%와 9.6% 늘었다. 물가를 감안해 95년 가격으로 평가한 실질소득은 196만4,600원, 실질소비지출은 132만9,000원으로 전년에 비해 각각 4.9%와 7.2% 증가했다. 박동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