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6자회담 결렬… 당분간 '경색국면' 지속될듯

남북관계는 어떻게 될까<br>北, 남측에 책임전가등 비난공세 강화 예상<br>"美 행정부 출범하면 핵협상 활기띨것" 전망도

북핵 검증의정서 마련을 위한 6자회담이 합의도출에 실패함에 따라 남북관계가 당분간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경색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일단 우리 정부로서는 대북정책 추진에 있어 운신의 폭이 좁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비핵화 진전과 남북관계 발전을 연계시키고 있는데다 이번 회담 결렬은 북한의 '12ㆍ1조치'로 가뜩이나 냉담한 대북여론을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당장 북한이 핵 문제를 남북관계와 직접적으로 연계시켜 행동화에 나설 가능성은 적다 하더라도 이번 회담에서 남측이 보인 강경한 입장에 대해 비난 공세에 나설 것으로 보이며 양측 간 신뢰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과거와 달리 이번에는 일본과 공조해 경제ㆍ에너지 지원과 검증을 연계하는 강한 입장을 내세웠기 때문에 절충에 실패한 측면이 있다"면서 "북한이 6자회담을 빌미로 대남 2차 조치를 취하지는 않겠지만 비난공세를 하며 남측에 책임을 돌릴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이번 회담 기간 중 밝힌 대로 검증의정서 채택과 대북 경제ㆍ에너지 지원 문제를 연계시켜 대북 에너지 지원을 유보할 경우 북한도 불능화 복구조치와 또 다른 위협조치로 맞서며 핵 문제와 남북관계의 위기지수를 고조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김성배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연구위원은 "우리 정부가 대북 에너지 지원을 중단하고 북한이 불능화를 중단하는 상황으로 가면 (미국) 정부 내에서 테러지원국 재지정 문제가 거론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렇게 되면 북한이 2, 3단계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남북관계는 적어도 내년 1월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출범하고 한미정상 회담 등을 통해 한미 간 대북정책 조율이 이뤄지는 3~4월 이전까지는 추가적인 상황악화 가능성과 함께 경색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오바마 행정부 출범을 계기로 북핵 협상이 다시 활기를 띠고 북미관계에 진전이 있거나 한미 간 대북정책 조율과정에서 유화적 대북 메시지가 나온다면 북한도 남북관계를 풀려고 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남북 간 긴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