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팅ㆍ비기(알)ㆍ콩’
이 말들이 무슨 공통점이 있냐고 의아해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아날로그형 사람들이거나 자녀들의 휴대폰 문제에 별로 관심을 갖지 않는 사람들일 것이다. 이 용어는 이동통신사들이 18세미만 청소년들을 위해 만들어 놓은 요금제의 명칭이다.
휴대폰 사용 연령층이 갈수록 낮아지면서 이제 중학생은 말할 것도 없고 초등학교 고학년만 되면 절반이상이 휴대폰을 들고 다닌다고 한다. 초등학생의 휴대폰 사용에 거부감을 가진 부모들은 세상물정 모르는 한심한 사람으로 치부될 정도다.
중학교에 진학한 아들에게 휴대폰을 사주면서 이 용어들을 접하고 난 뒤 아날로그 학부모의 뒤떨어진 현실인식을 절감했다. 집사람과 아들의 따가운 시선을 애써 무시하며 아버지의 위상을 조금이나마 되찾고자 우리집 통신요금을 머릿 속으로 계산하며 집사람에게 한마디 던졌다 더욱 낭패를 겪었다. “그러고 보니 우리집 통신요금이 13만원쯤 되나. 꽤 많은 것 같은데” 이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다른 집은 20만원 이상이에요. 그래도 우리집은 반정도밖에 안돼요”라며 집사람에게서 핀잔이 날라왔다.
체면은 구겼지만 말이 나온 김에 처음으로 우리집 통신요금을 한번 정리해봤다. 초고속인터넷 요금으로 한달에 4만여원, 집전화 2만여원, 나와 집사람 휴대폰 2대 요금을 합쳐 6만여원. 모두 합쳐 13만원정도가 나왔다. 여기에 아들 정액제 휴대폰요금 1만8,000원을 합치자 월 통신요금이 15만원으로 늘어난다. 그런데 이 비용은 매달 꼬박꼬박 내야 하는 세금처럼 지출해야 하는 고정비용이다. 부담이 만만찮다.
통신요금이 왜 이리 많이 나올까. 과거 전화비 개념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이 같은 체감통신요금을 받아들이는데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 특히 휴대폰요금 청구서에 나오는 항목 중 기본요금을 보면 저항감이 더 커진다. 기지국 등 이동통신 인프라도 웬만큼 갖춰져 있고 이동통신 업체들도 엄청난 수익을 내고 있는 상황에서 아직도 높은 기본요금을 받는다는 것에 소비자는 여전히 봉이구나 하는 불쾌감까지 갖게 된다.
이 같은 국민정서에 편승해 정치권과 시민단체들은 통신요금 문제를 사회이슈화해 요금인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통신요금을 허가하는 정보통신부는 인위적인 인하보다는 경쟁을 통해 자연스럽게 요금을 내리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에서 다소 후퇴, 시민 단체들의 손을 들어주는 분위기로 돌아선 것 같다.
하지만 통신비용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디지털경제의 관점에서 체감통신비용을 재해석해야 하지 않을까.
유비쿼터스 모바일이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을 만큼 휴대폰은 언제, 어디서나 이용하는 생활필수품으로 등장했다. 친지나 친구 전화번호는 물론이고 개인스케줄도 관리해 주는 게 휴대폰이다. 머지 않은 장래에 속도나 화질면에서 최첨단의 휴대폰이나 인터넷이 등장하면 영화나 게임은 물론이고 화상대화ㆍ교육ㆍ쇼핑도 실시간에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디지털시대의 통신요금은 이제 가계지출비용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비용인 셈이다. 여기에는 레저나 여가활동에 드는 문화ㆍ레저비 부분도 포함돼 있다. 지하철에서 지상파 방송을 보고 서로 얼굴을 보며 통화하고, 시간 때우기 위해 영화를 보고, 게임을 하는 이 모든 것을 사회ㆍ문화활동비용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통신 업체들은 이용자의 불만이나 비용부담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한 명이라도 더 가입자를 확보하고, 한푼이라도 더 많은 이익을 내는 데 모든 것을 던진다. 통신 업체들은 승자가 모든 것을 얻는 디지털경제의 패러다임으로 초래된 현실이라고 주장한다.
점점 더 발전하는 디지털기기와 서비스는 그 편리함과 유용함에 비례해 비용부담도 늘어나게 돼 있다. 그 비용부담은 개인ㆍ가정 나아가 사회가 함께 풀어야 할 장기과제다. 통신요금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통신업체의 접근법이 바뀌지 않으면 통신요금 논란은 언제든지 불거질 수 있는 뜨거운 감자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