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심동섭 "자금·인력·마케팅 등 中企애로 적극 해결"

신임 심동섭 경기지방중기청장


“기업과 함께하는 중소기업 정책을 펴는 데 열정을 쏟겠습니다.” 최근 취임한 심동섭(49ㆍ사진) 경기지방중소기업청장은 6일 “경기도 내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허브(Hub) 기관으로서 위상을 더욱 높여나가겠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심 청장은 “경기 지역에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 제조업체의 3분의1이 소재해 있고 생산ㆍ부가가치ㆍ고용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우리나라 경제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경기중기청이 중소기업 지원의 허브 기관으로 31개 시ㆍ군 및 기업지원기관과 유기적인 협력시스템을 갖춰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중소기업은 전체 기업의 99.9%를 차지하는데다 고용의 88%를 담당하고 있고, 특히 전체 수출의 3분의1을 차지하고 있다”며 중소기업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심 청장은 나아가 “자금ㆍ인력ㆍ마케팅 등 중소기업 애로사항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해소함으로써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다짐했다. 수요자인 중소기업이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믿음을 주는 경기중기청으로 발전시켜나가겠다는 것이다. 심 청장은 직원들에게도 “관내 중소기업이 가족이 운영하는 회사라고 생각하고 사소한 애로사항 또는 기업환경개선 과제라고 해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해결해줄 것”을 당부했다. 심 청장은 조만간 중기청의 조직이 대폭 변화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지방청 지방자치단체 이관 문제와 관련해 “행정안전부가 추가 조정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며 “중기청에서는 지방청 광역화를 추진하고 있고, 특히 수도권은 경기청을 중심으로 광역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중기청은 현재 전국 11개의 지방청을 수도권(서울ㆍ경기ㆍ인천), 충청권(대전ㆍ충남ㆍ충북), 대구ㆍ경북권(대구ㆍ경북), 동남권(부산ㆍ울산ㆍ경남), 서남권(광주ㆍ전남ㆍ전북) 등 5개로 광역화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경기중기청은 수도권광역청으로 서울과 인천은 서울사무소와 인천사무소로 변경되고 경기북부와 강원북부에도 사무소 신설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기청은 지방청 광역화와 관련해 일선 지방청 등에 의견을 조회하고 있다. 관계부처 등과의 의견조율이 끝나면 이르면 올해 중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강원도 일부 지역은 수도권과 충청권에 편입시키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그는 지방청 광역화와 관련해 “각 시ㆍ군별로 지방청을 쪼개두면 자기 역할만 고집해 기업지원 활동에 차질이 예상될 수 있다”며 “광역단위로 통합하면 지역에 제한 없이 종합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심 청장은 성균관대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지난 1982년 제26회 행정고시에 합격, 공직에 입문한 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정책과장ㆍ국제무역전략팀장ㆍ서울중기청장 등을 역임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