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농업소득세 부과 내년부터 5년동안 한시 중단

농민과 농업법인들을 대상으로 한 농업소득세 부과가 내년부터 5년 동안 한시적으로 중단된다. 이는 농산물시장 개방으로 농촌의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8일 재정경제부와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정부는 농업경쟁력 활성화를 위해 농업소득세 부과를 오는 2005년부터 5년 동안 중단하는 방향으로 지방세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정부는 농업소득세 부과 정지기간이 끝나는 5년 뒤 농업경쟁력 상황을 분석한 뒤 정지기간 재연장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하지만 쌀시장 개방과 농가부채 누증을 감안하면 농업소득세가 사실상 폐지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농업소득세는 한국표준산업분류표상의 농업소득 가운데 벼ㆍ과수ㆍ인삼ㆍ엽초ㆍ약용작물ㆍ참깨ㆍ들깨ㆍ땅콩ㆍ홉 등 작물재배에서 발생하는 소득에 과세하는 지방세로 시ㆍ군ㆍ구세에 포함된다. 농업소득세는 재배한 작물별 수입금액 중 투입비용을 공제한 농업소득에서 각종 감면 및 연 560만원 기초공제를 해 산출된 과세표준에 일정 세율을 곱해 계산하며 연간 세수는 26억여원 규모에 이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