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리 양심의무게 달아보자

저울의 종류는 매우 다양한데 크게 나누면 천칭, 대저울, 앉은뱅이 저울, 용수철 저울 등으로 나뉜다. 인간이 최초로 만든 저울은 천칭으로 지금까지 쓰이고 있다.천칭은 BC 5000년 무렵 이집트 분묘 속에서 돌 추와 함께 출토되었으며 BC 3000년경의 파피루스에 그려진 천칭은 오늘날의 저울과 큰 차이가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고대 이집트의 약조제의 최소 단위가 0.7G 정도였으므로 가장 정교한 저울의 강도는 0.1G에 달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은(殷)나라 때 이미 천칭이 쓰였으나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저울을 썼는지가 분명하지 않다. 다만 BC 1000년 무렵에 청동제 무기, 생활용품들이 대량 생산되었으므로 그 재료인 구리, 아연, 은, 철 등의 비율을 조정하기 위하여 그 무렵부터 저울이 쓰였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저울을 부정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 저울을 비롯한 도량형의 공정한 시행을 위하여 불량품 사용자에 대한 벌칙을 두었고 명종 때는 평두량 도감을 설치, 반드시 방망이처럼 된 평미레를 사용하도록 하고 이를 위반 할 경우 섬으로 귀양까지 보냈다. 현재 박물관에 소장된 저울이나 저울추는 재료, 크기, 형태가 서로 달라서 당시 저울의 제작·사용이 문란하였음을 엿보게 하고 있다. 이집트 벽화에는 인간의 심장을 저울에 달고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 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인간은 생전에 그가 착했는지 악했는지를 사후에 심판 받는다고 믿었다. 바로 그 판정에 저울이 사용된 것이다. 인간이 죽으면 지하세계의 신 「오시리스」가 저울 한쪽에는 죽은 자의 심장을,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깃털을 올려놓고 무게를 잰다고 한다. 이때 심장이 깃털보다 무거우면 그는 생전에 나쁜 짓을 많이 한 것으로 판정되어 지하세계의 괴물에게 잡아먹히고 깃털보다 가벼우면 사후 세계에서 영생을 얻게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 양심 저울에 우리를 달아보면 어떤 모습일까. 정치인, 재벌, 고위 공직자, 업자 등등 어느 것 하나 썩어 냄새 나지 않는 것이 없기 때문에 깃털 보다 무거운 심장일 것이다. 그래도 우리 사회는 깃털보다 가벼운 심장을 가진 양심 있는 사람들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율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