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북한 도울 준비 돼있다" 강경 일변도 벗고 유화 메시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본격 가동 자신감<br>"국제사회 일원 되려면 핵 버려야" 경고도


다음달 이산가족상봉.. 성사 가능성 높아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밝힌 대북 메시지는 강경책을 고수하던 이전과 비교하면 상당히 전향적이다. 이에 따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본격 가동됐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함께 이산가족 상봉도 북측의 수용해 조만간 성사될 것으로 관측된다.


◇박 대통령의 북한 껴안기=박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는 전날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합의문이 채책된 덕분인지 대북 우호 메시지로 가득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는 진심으로 북한의 변화를 기다리며 열린 마음으로 북한을 적극 도울 준비가 돼 있다”며 “이번 (개성공단) 합의를 계기로 과거 남북관계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 잡고, 상생의 새로운 남북관계가 시작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고 밝혔다.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던 박근혜 정부 초기, 안보태세를 강조하며 '도발에 대한 강력한 응징'이나 ‘북한의 태도 변화가 요구된다’고 촉구했던 이전과 사뭇 달라진 대목이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유화적 대북 메시지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잘 작동하고 있다는 자신감에 기반한 발언으로 분석된다. 박종철 통일정책 연구센터 소장은 “박 대통령의 이번 축사는 북한의 도발에는 강하게 대응하되 화해 분위기 조성시에는 인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기반한 것”이라며 “북한이 지난 2월 핵실험 등을 통해 조성된 긴장 국면이 지나가고 대화 정국이 조성됨에 따라 그에 맞춰서 주제를 바꾼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다만 박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경고도 잊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핵을 버리고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동참한다면 새로운 한반도 시대를 열어갈 수 있다”고 밝히며 북한의 비핵화를 재차 촉구했다.

◇이산가족상봉 성사 가능성 높아=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이번 추석을 전후로 남북한의 이산가족들이 상봉할 수 있도록 북한에서 마음의 문을 열어주길 바란다"고 밝히며 이산가족 상봉을 본격 제안하기도 했다. 개성공단 정상화로 첫발을 내딛은 한반도신뢰프로세스의 두번째 단계로 이산가족 상봉을 화두로 제시한 셈이다.

이산가족 상봉의 경우 성사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 전반적 관측이다. 이산가족 상봉은 인도적 차원의 문제로 남북 당국 모두 정치적 부담이 크지 않은 사안인데다 북한이 이미 지난달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을 제안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개성공단 정상화로 남북 사이의 큰 걸림돌 하나가 제거된 상황을 감안하면 우호적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정부 소식통은 “박근혜 대통령이 광복절 행사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공식 제안한 것을 보면 전날 열린 제 7차 남북 실무회담에서 이와 관련한 물밑 접촉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며 “이산가족 상봉 이 성사될 경우 점차 사안을 확대해 북한 비핵화까지 접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의 제안대로 이번 추석에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진다면 지난 2010년 이후 3년만인 셈이 된다. 이산가족 상봉은 1985년 처음 이뤄진 후 2000년부터 18차례의 대면상봉과 7차례의 화상상봉을 통해 남북 양측에서 총 2만1,734명이 만났다.

다만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과 함께 금강산 관광 재개나 개성공단 조기 재가동 등을 동시에 제안할 경우 문제가 복잡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날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합의문 도출 과정에서 우리측 제안을 대부분 수용한 북한 입장에서는 이산가족 상봉 카드를 통해 자신들의 ‘존엄’을 세우려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