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작년 물가상승률 OECD 평균의 1.4배

아시아 주요국 가운데 중국.인도 다음 높아

우리나라의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1.4배에 달했고 아시아 주요국 가운데에서도 중국과인도 다음으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OECD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로 같은 기간 OECD 30개 회원국들의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 2.5%의 1.4배에 이르렀다. OECD를 대표하는 7개 주요 선진국들의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2%로 우리나라보다 훨씬 낮았고 이 국가들 중 영국만 3.0%로 3%대를 기록했을 뿐 미국(2.7%),프랑스(2.1%), 독일(1.7%), 이탈리아(2.2%), 캐나다(1.8%)는 1∼2%대를 유지했다. 전년에 -0.3%로 디플레이션 상태를 보였던 일본의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0.0%를 기록했다. 유럽연합(EU) 15개 회원국들의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2%에 그쳐 이 지역국가들의 지난해 물가 움직임도 우리나라보다 안정된 모습을 나타냈다. 또 아시아 주요국 가운데 중국(3.9%)과 인도(3.8%)를 제외한 대만(1.6%), 싱가포르(1.7%), 홍콩(-0.4%) 등의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우리나라보다 낮았다.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경제여건이 다른 국가들의 물가상승률을 수치만으로 단순비교할 수 없지만 중국과 인도가 6∼9%대의 고속 경제성장을 하면서도 3% 후반대의물가상승률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은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정부는 수치만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있다고 강조하지만 경기부진속에서 서민들이 몸으로 느끼는 물가상승률은 수치 이상"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