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미은행장 선임] 정부,정치권 개입 가능성

김진만행장을 한빛은행의 초대행장으로 배출한 한미은행이 후임행장 선출을 놓고 술렁거리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행장 선임과정에 정부와 정치권이 개입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금융권의 반발기운이 드세지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계에서는 한미은행의 이번 행장 선출에 「관치·정치금융」이 부활할 경우 정부가 그간 애써 쌓아온 금융개혁 구조조정의 대원칙이 일순간에 물거품이 될 수 있다며 예의주시하고 있다.24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미 金행장의 후임인선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최근들어 외부 낙하산 인사의 가능성이 구체적인 이름까지 거명되며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인물은 금융계 고위인물인 S씨와 경제부처 고위 관계자인 Y씨. 은행권에서는 후임행장이 외부에서 영입될 경우 이들이 각각 정치권과 금융당국의 지원을 얻어 유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모두 일단 능력과 사회적 평판 등에서는 인정을 받는 인물들이다. 그러나 S씨의 경우 충분한 경영자질에도 불구, 이미 부실은행의 경영에 책임이 있고, 이에대한 평가를 받은 인물이다. 정부가 금융구조조정의 대원칙으로 내세웠던 「물갈이」와 「책임경영」, 「관치금융 배격」에 전부 위배되는 셈이다. 금융계에서는 특히 그가 호남출신임을 들어, 위성복(魏聖復)조흥은행장 등 호남출신 인물들이 중도낙마한데 따른 일종의 「보상차원」, 나아가서는 「금융인사 빅딜」 차원에서 S씨를 후임행장으로 밀고 있다는 해석까지 나오고 있다. Y씨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능력면에서는 출중하지만, 정부의 일방적인 낙하산 인사에 의해 은행경영과는 거의 무관한 인물을 시중은행의 행장으로 결정한다는 것은 구조조정의 대원칙에 벗어난다고 보고 있다. 시중은행의 고위 임원은 『능력있고 새로운 인물을 은행 스스로 외부에서 영입하는 것은 큰 문제가 없다』면서도 『그러나 부실경영에 책임이 있거나 은행경영에는 그다지 관련이 없는 인물이 일방적으로 행장에 선임되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 금융계에서는 『정부가 유력하게 거명되고 있는 인물을 그대로 행장으로 밀 경우 1년여에 걸쳐 쌓아온 구조조정의 명분과 성과는 순식간에 무너질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정부가 한미은행에 지분이 전혀 없는데도 대주주에 대한 압력을 통해 「관치·정치금융」을 강행할 경우 순수한 은행경영은 이루어 질 수 없으며, 과거 한국 금융산업의 가장 큰 문제였던 「정경유착에 의한 부실대출」이 재연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영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