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황해자유구역도 'LH 불똥' … "구역지정 해제를"

일부 구역 LH 재정난에 보상 늦춰지자 주민들 반발

황해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이 경기불황에 따른 경기침체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자금난 등으로 인해 경제자유구역 지정 2년이 되도록 답보상태에 빠지자 '구역지정 해제'를 요구하는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지난 2008년 4월 경기도의 평택 포승지구와 화성 향남지구, 충남 당진의 송악지구와 아산 인주지구, 서산 지곡지구 등 5개 지역을 묶어 황해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했다.


정부는 평택항과 당진항을 중심으로 국제수준의 첨단기술산업클러스터와 대 중국수출 전진기지 및 부가가치 물류육성을 위해 총 면적 55.05㎢에 주거와 관광, 첨단산업단지를 갖춘 자족도시를 오는 2025년까지 3단계로 나눠 개발하기로 했다.

하지만 경기침체와 일부 구역에서 사업을 맡은 LH의 재정난이 겹쳐 대상지역에 대한 보상지연에 따른 주민반발이 커지고 있다.

포승지구는 포승읍과 만호리 일대 총 2,14만9,000여㎡에 자동차부품 단지와 3만4,623가구를 수용하는 주거 및 관광, 상업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하지만 지난 2008년 구역 지정 이후 시행사인 LH측의 토지보상이 지연되자 "농지를 일방적으로 구역지정 해놓고 경제난에 사업성이 없다며 보상을 미뤄 피해를 보고 있다"는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관련기사



지난 4월 구성된 '경제자유구역 해제 대책위'는 주민 400여명의 서명을 받아 "포승지구 1, 2단계 사업에 대한 일괄보상 추진 또는 지구지정 해제"를 촉구하는 건의서를 국민권익위원회에 제출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LH가 자금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주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12년 일괄보상이 가능하도록 협의하겠다"며 "일괄보상이 불가능할 경우 구역조정 및 구역지정 해제 등의 대책을 마련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향남지구는 6,000여억원을 들여 530만㎡의 부지에 전자·정보, 바이오 및 주거단지로 만들 계획이지만 사업시행자 조차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 LH와 건설사들은 "사업성이 낮다"며 지구 개발 참여를 포기하면서 사업자 선정이 무산됐다.

황해경제자유구역청은 오는 10월께 공고를 통해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송악지구도 구역지정 해제를 요구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거세다. 사업시행자인 당진테크노폴리스㈜의 대주주인 한화그룹이 자금난을 이유로 최근 사업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516만㎡에 자동차부품단지와 R&D단지, 주거단지 등이 조성될 예정이었다.

경기도 관계자는 "LH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경기도시공사나 평택도시공사 등이 사업을 공동추진 하는 만큼 예정대로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