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유진기업 에너지저장장치 사업 진출



4 ㎾h급 가정용 시제품 개발, 中법인 설립 등 사업 속도

유진기업이 차세대 산업으로 꼽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에 진출한다.


유진기업은 리튬이차전지를 기반으로 한 ESS 전문기업 유진에너팜을 설립하고 ESS 분야 사업을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유진에너팜은 국내 ESS 초기 정부 주도의 실증사업을 진행한 경험을 갖춘 연구개발진을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올 1월 출범했다.

유진에너팜은 현재 가정용 하이브리드타입 4㎾h 급 ESS 시제품을 완성했으며 연내에 100㎾h 급 빌딩 및 산업용 ESS 시제품도 출시할 예정이다. 전력망 및 산업용에 쓰이는 메가와트(㎿)급 ESS도 내년 상반기 중 상용화할 계획이다.


유진에너팜은 특히 이차전지 셀의 열 제어 기술을 독자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줄여 셀의 안정성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을 전망이다. 개발이 완료되면 상용화 단계에서 ESS의 수명과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유진에너팜은 아울러 글로벌 시장 교두보 마련을 위해 지난 6월 중국 심양에 현지법인인 심양유진BESS상무유한공사를 설립했으며 최근 이탈리아, 프랑스 등 유럽 업체들과도 현지 합작법인 설립을 통한 시장진출을 논의하고 있다. 올해 말 미국 일리노이 주정부의 ESS 보급사업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양원돈 유진에너팜 사장은 “최근 원전 가동중단 등에 따른 전력공급 불안이 현실화 되면서 국내에서도 에너지 관련 산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며 “국내 ESS 확산사업 참여는 물론 글로벌업체들과 경쟁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서는 정부의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추진과 더불어 삼성SDI, LG화학, 코캄 등 여대기업 및 전무기업이 ESS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사진설명/

유진기업의 ESS사업 전문기업인 유진에너팜 직원들이 배터리 열제어 기술을 점검하고 있다./사진제공=유진기업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