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 인사검증시스템 손질 나서

류우익 실장·박재완 수석등 주축 개선책 마련<br>당안팎 "부실 검증에 부실한 정무기능도 문제"

청와대가 최근 새 정부의 장관 후보자들이 각종 의혹으로 낙마한 것과 관련해 뒤늦게 인사검증시스템을 손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장관들의 잇따른 낙마가 국정운영의 정상적인 출발을 발목잡고 있는데다 4ㆍ9 총선을 앞둔 ‘민심’이 흔들리고 있다는 반성에 따른 것이다. 이미 이번 인사 사태로 최대의 피해를 보고 있는 한나라당으로부터 “이미 서울에서 10여석 이상이 날아갔다”며 볼멘 소리를 듣고 있는 청와대로서는 부담이 적잖이 돌아오고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28일 “최근 조각 인선 파문으로 국민에게 걱정을 끼친 데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제도적으로 인사검증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생각했던 것보다 인재풀이 제한적이고 검증시스템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아프게 받아들인다”며 “시간이 걸리겠지만 보완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류우익 대통령실장, 박재완 정무수석, 김명식 인사비서관 등을 주축으로 검증시스템 개선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29일 오전 이명박 대통령 주재의 확대 비서관 회의에서 이 문제를 본격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다만 낙마한 인사들의 후임 인선과 앞으로 해야 할 다른 인선에 새 시스템을 도입하기에는 시간적 한계가 있기 때문에 최대한 기존 틀에서 철저한 검증을 하겠다고 밝혔다. 한나라당도 여당이라는 입장 때문에 공개적이지는 않지만 이번 인사사태가 청와대 측의 부실한 검증시스템 때문이라는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지나치게 폐쇄적인 청와대의 인사 스타일이 문제”라며 “당과 좀더 협의했더라면 이 같은 혼란은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 안팎에서는 또 청와대의 정무기능이 약하다 보니 부실 검증 못지않게 인사청문회 등에서 통합민주당 등 야당에 계속 끌려 다니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부실 검증 자체도 문제지만 인사청문회 등에서 대 국회 관계 등의 채널을 확보하지 못한 시스템상의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