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국토부 산하 공기업 재무개선 착수

막대한 부채로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도마위에 올랐던 국토교통부 산하 공기업들이 잇따라 재무구조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나섰다.

코레일은 재무건전성 제고를 위해 구분회계제도 도입 연구용역을 시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국토부가 지난 3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실패에 따른 재무 건전성 악화로 철도안전ㆍ운송 등에 지장을 초래할 것을 우려해 구분회계를 지시한 지 8개월여만이다.

구분회계제도 용역은 착수 후 내년 3월까지 총 5개월에 걸쳐 진행되며 회계단위 설정, 원가배분기준 타당성 검증, 구분 재무제표 산출, 경영관리 활용방안 등 회계 전반에 걸쳐 이뤄질 예정이다.

우선 코레일의 철도운송사업과 부동산개발사업 등 비운송사업, 정부보조금사업, 위탁사업 등의 회계구분이 중점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이 철도산업 발전방안의 핵심인 수서발 KTX 자회사 설립과 지주회사로의 탈바꿈을 위해선 구분회계가 필수적이라는 게 국토부 안팎의 시각이다.

관련기사



코레일은 이미 지난달부터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과 사업별 회계구분을 위한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레일 관계자는 “이번 용역을 통해 사업부문별 비효율과 적자 원인을 명확히 규명해 경영효율성을 제고시키는 한편 실질적인 부채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100조원이 넘는 부채로 매년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단골 메뉴로 지적되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역시 기업 경영에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일 이재영 LH 사장은 무디스와 S&P 등 홍콩에 위치한 국제 신용평가기관 애널리스트들을 방문한 자리에서 “부채 축소는 이제 생존의 문제”라며 “내년부터 국민주택기금 차입금을 제외한 사채증가는 없을 것”이라고 사채동결을 선언했다.

2009년 말 50조1,000억원에 달하던 금융부채가 지난해 말 66조4,000억원으로 불어난 상황에서 금융부채 절대 규모의 축소없이는 재무여건 개선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LH는 사채발행의 축소에 따른 재원마련 방안으로 사업다각화를 통해 연간 3조원의 민간자본 유치한다는 복안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공임대주택이나 행복주택 등 기금과 재정이 투입되는 사업은 그대로 진행하되 추가적인 차입을 막겠다는 방향은 정부에서도 공감하고 있다”며 “다만 민간 자본유치가 쉽지 않은 과정인 만큼 LH가 민간 자본유치를 위해 리츠를 만든다거나 할 때 가령 기금이 일정 부분 투입되는 등 정부에서도 도울 일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