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제 국격을 높이자] 'KOREA'브랜드 높이려면

①저개발국가 원조 강화 ② 기업과 외교공조 구축 ③ 친한파·지역전문가 육성

이명박 정부 들어 추락하는 한국의 대외적 위상을 보면 외교정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뼈저리게 느끼게 된다. 중국과의 굴욕 외교, 일본의 독도 도발, 배신당한 대미 외교 등 주변 열강에 치이고 어글리 코리안 이미지로 동남아를 비롯한 아시아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게 한국 외교의 현실이다. 마치 우물 안 개구리처럼 한반도에만 갇혀 있는 ‘고립무원(孤立無援)’ 격이다. 당연히 국제사회에서 제대로 된 발언권을 행사할 수도 없을 뿐더러 동반자적 파트너로서의 우군도 거의 없다. KOREA라는 국가 브랜드가 제대로 평가받을 리 만무하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대한민국의 위상을 찾고 국가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에서 경제력에 맞는 의미 있는 기여를 통해 외교적 위치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상무는 “우리 외교는 경제력에 비쳐볼 때 한개 얻어야 한개 주는 것처럼 굉장히 인색하다”며 “중국의 아프리카 자원외교가 빛을 발하듯 저개발국가에 아량을 베푸는 덕성외교를 펼칠 때가 왔다”고 말했다. 실제 우리나라의 국민 1인당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는 프랑스ㆍ독일의 12분의1 수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다. 유 상무는 “특히 세계 곳곳에 뿌리박혀 있는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네트워킹과 정보를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해외에서 긴밀히 협조한다면 국가 이미지 개선 등 높은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숙종 성균관대 교수도 “일본의 무역상사가 수집한 정보가 정부로 흘러가는 것처럼 우리도 정부와 기업의 외교 공조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면서 “한편으로는 정부가 청년층의 해외 봉사프로그램 등을 지원해 지역전문가를 배출하는 데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친한파(親韓派)’ 배출에도 적극 공을 들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 교수는 “외국인이 한국에 와서 제대로 알고 가면 친한파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대학생ㆍ학자 등을 대상으로 단기적이고 노골적인 지원보다는 장기적 안목에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 실효성 있는 지원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김정숙 배재대 대외협력처장은 “최근 후진국의 대학생을 학교로 초청해 한국의 문화나 철학 등을 고취하고 있으나 단기간에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면서 “특히 언어와 학문 모두를 아우르는 인력이 부족한 만큼 보다 세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상무는 “우리나라에 와 있는 아시아 근로자들을 인간적으로 대우해주고 코리아 드림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외교자산의 근간이 될 수 있다”면서 “특히 외국 대학생을 적극 지원하는 게 국가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빠른 길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홍준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