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高유가에 원高…대기업 비상체제

高유가에 원高…대기업 비상체제경제여건 악화 경영타격 우려 대응책총력 고유가·원고(元高) 등 경제여건이 급속히 악화되면서 대기업들이 비상경영체제에 본격 돌입했다. 8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현대·LG 등 대기업들은 고수익 위주로 사업구조를 재편하거나 비용절감을 추진하는 등 대책마련에 적극 나섰다. 삼성은 유가와 원화 강세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계열사들이 본격적인 고유가시대 및 달러당 환율이 800원 수준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사업경쟁력을 갖추도록하고 구체적인 대책마련에 들어갔다. 삼성은 연초에 사업계획을 세울 때부터 하반기 이후 유가 상승과 환율 문제로 경제사정이 악화될 것을 예상, 각 계열사가 이에 맞는 준비를 하도록 해온 만큼 고수익·고부가가치 제품을 위주로 한 사업재편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또한 「월드베스트」 상품의 육성 등 제품의 시장지배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경기의 영향을 덜 받도록 하는 한편 생산라인의 공정조정 등을 통한 에너지비용 절감책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자동차 업종의 타격이 심각할 것으로 보고 이날 긴급대책회의를 열어 대책마련에 착수했다. 현대차는 유가가 30달러선인 경우 내수가 올해 170만대에서 2001년에는 145만대로 줄고 33달러일 경우 141만대로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또 세계적으로도 자동차 수요가 감소해 전체 수출물량이 2∼3만대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내수마케팅 부문에서 LPG엔진 대신 디젤엔진을 장착한 레저용 차량(RV)에 대한 시장공략을 강화하는 동시에 소형차 시장확대를 추진하고 수출 부문에서는 수익성 제고에 기반을 두고 중소형차 수출을 강화하기로 했다. LG는 즉각적인 에너지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책과 함께 고부가가치 제품을 위주로 한 사업재편을 통해 본질적인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에 주력하기로 했다. 특히 LG전자는 가격에 민감하지 않은 대형 가전제품과 첨단기기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개발에 주력, 고급시장을 선점하고 중동 등 산유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마케팅을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 입력시간 2000/09/08 19:20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