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시에 따르면 무상보육 부족분 해결을 위한 지방채 2,000억원을 공모하는 대신 은행에서 직접 차입하기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서울시는 이번주 중 각 부서별로 예산수요를 파악해 최종 차입 규모를 결정할 계획이지만 당초 밝힌 대로 2,000억원보다 크게 줄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관계자는 "부서별로 예산수요를 파악해 이번주 중 차입규모를 확정하고 다음주 중 1개 시중은행과 차입한도 약정을 맺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리조건은 양도성정기예금(CD) 금리(2.65%)에서 가산금리를 더해 3.5% 이내에서 정해질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중에는 서울시금고로 지정돼 있는 우리은행이 일단 유리한 상황이다.
그러나 서울시는 1~2개 대형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금리조건 등을 더 받아 본 후 최종 약정을 맺을 계획이어서 결과를 예단하기는 어렵다. 특히 농협은 서울시가 최근 차환자금을 우리은행보다 훨씬 유리한 금리조건을 내세워 계약을 따냈다는 점에서 다크호스로 거론되고 있다.
2,000억원 대출 규모는 대형 은행들로서는 크지 않은 금액이지만 서울시와 '거래'를 텄다는 상징성이 더 커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특히 내년 하반기 한 해 20조원이 넘는 서울시 예산을 운용할 시금고 선정을 앞두고 있어 2,000억원 대출을 놓고 시중 은행 간 막판 신경전도 치열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가 지방채 발행을 하지 않고 직접 차입에 나선 것은 차입금액이나 시기·상환조건 등이 탄력적이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정부의 공적기금에서 지방채를 인수해주는 방안과 공모채 발행(공모), 은행차입 등 세 가지 정도의 시나리오를 검토해왔다. 공적기금을 통한 지방채 인수 가능성도 타진해봤지만 정부가 난색을 보여 일찌감치 접은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차입은 채권발행과 달리 규모나 시기·상환 등에 있어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2,000억원 규모로 한도약정은 맺어놓고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금액을 차입하면 되기 때문에 지방채 발행 때와 달리 이자상환에도 부담이 적은 편이다. 또 지방채는 발행비용이 추가로 들지만 차입형태는 그렇지 않다는 점도 유리하게 작용했다. 서울시의 이번 지방채 발행은 2009년 이후 4년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