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e비즈 아이디어 배출창구로 육성"

취임 100일 한영수 전자거래진흥원장


"e비즈니스에 관한 한 국내 최고권위의 아이디어 배출창구로 확 바꾸고 키워보겠다는 야심을 갖고 있습니다." 취임(6월21일) 후 100일을 막 넘긴 한영수(57) 전자거래진흥원장은 욕심을 숨기지 않았다. "신설 '디지털정책연구소(가칭)'를 곧 가동합니다. 7년간 써왔던 '한국전자거래진흥원'이라는 이름도 바꿀 생각이에요. 오늘보다 내일은 분명히 더 나아야 하고 이지고잉(easy going)은 절대 용납할 수 없는 내 경영철학입니다." 모두가 e비즈니스 산업에 또 다른 빅뱅이 다가오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10년 내에 '전자상거래'라는 단어에서 '전자'라는 단어는 불필요하게 될 겁니다. '오프라인' 거래가 오히려 예외적인 현상으로 조망되는 그런 시대가 우리 앞에 곧 현실화됩니다. 필요하면 법(法)도 바꿔야 할 그런 때입니다." 변신의 밑그림은 곧 공개한 뒤 차근차근 색칠을 해나간다는 계획이다. "방향은 급격하게 디지털화돼가고 있는 산업과 사회 전반의 큰 변화를 최근접 지원하는 기관으로 재탄생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변화의 피해자'에 대한 배려도 염두에 둔 듯했다. "35년 사회생활 교훈은 조직은 일단 따뜻해야 된다는 거예요. 조용하고 상시적인 그런 식으로 변화할 겁니다. 물론 '패자부활' 기회는 반드시 줄 생각이고요." 71년 행시 10회로 입문 뒤 지난 99년 공직을 떠날 때까지 28년간 산업자원부에서 국제통상 분야와 중소기업 정책 분야에서 잔뼈가 굵었다. 1년 남짓 기계산업진흥회 상근부회장을 지냈고 2000년부터 5년 넘게 한국무역협회에서 일하다 전무직을 끝으로 진흥원에 새 둥지를 틀었다. 관료와 민간을 오갔던 그가 후배관료들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책상을 떠나라"는 것. "'관료사회 울타리' 밖에서 보려는 노력을 많이 하라고 자주 얘기해 주는 데 관료시절 결정했던 정책이나 생각 반드시 옳았던 게 아니라는 개인적인 후회 때문"이라고 그는 말했다. 정부예산을 쓰는 기관장 답지 않게 자체 수익사업에 열심인 것도 민간생활이 길어지면서 배어나온 것이다. 진흥원을 산자부의 산하기관이 아닌 정통부ㆍ교육부ㆍ행자부ㆍ노동부 등 전 정부부처의 e비즈니스라는 영역의 공통분모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욕심도 갖고 있다고 했다. "부처간 업무가 중복되면 말과 마찰이 많아지잖아요. 만나서 견해차를 찾아내고 좁히는 작업들에 많은 공을 들이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한 원장은 "발품을 많이 팔 생각"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