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터뷰] 영화 '말아톤' 주연 조승우

"자폐아들 실제론 밝고 순수, 꾸밈없이 연기할수 있었죠"<BR>뮤지컬로 다진 탄탄한 연기력 바탕<BR>최근 젊은 여성팬 사이서 높은 인기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만으로 배우 조승우(25)의 매력을 가늠하긴 힘들다. 누구처럼 훤칠한 키에 조각 같은 외모를 지닌 것도 아니다. 데뷔작인 임권택 감독의 ‘춘향뎐’을 비롯해 ‘후아유’ ‘H’ ‘하류인생’ 등 출연한 영화들은 대부분 흥행에서 별 재미를 못 봤다. 그 자신조차 “흥행에 대해선 별로 할 말이 없다”고 하지만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는 가히 ‘조승우 신드롬’이라 할 정도로 최고의 주가를 누리고 있다. 결국 그의 매력은 배우의 기본인 연기에서 나온다. 27일 개봉하는 영화 ‘말아톤’은 온전히 그만의 힘으로 이끌고 가는 사실상의 첫 영화다. 스무살 자폐증 청년이 마라톤을 완주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이 영화에서 조승우는 주인공 ‘초원’ 역을 맡았다. 그를 스타로 만들어 준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의 카리스마가 사라진 자리엔 순수하면서도 천진난한만 동심의 세계가 들어찼다. 그는 영화 ‘말아톤’을 “모두가 변하는 영화”라고 말한다. “한 자폐아가 주변의 관심과 사랑으로 세상과 소통하며 변해가는 모습을 그렸어요. 주인공인 초원이 뿐 아니라 그의 어머니, 아버지, 동생, 가르치는 코치 모두가 변해가죠. 마라톤 완주라는 목표보다도 중요한 건 변화 속에서 등장인물 스스로가 깨달아가는 과정이에요.” 자폐아를 그려냈지만 영화에선 좀처럼 그늘진 구석을 찾을 수 없다. 오히려 초원이의 말 한 마디마다 관객들의 웃음보가 터진다. 그는 “우리 모두가 자폐아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을 갖고 있다”고 했다. “어둡게 갇혀 있을 것만 같지만 실제로 자폐아들은 밝고 순수한 이들이에요. 꾸미지 않고 일반인들보다 훨씬 솔직하면서 진심이 담긴 말들을 해요. 덕분에 초원이를 연기하면서 어떤 형식이나 틀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연기할 수 있었죠.” 사실 오늘의 스타 조승우를 있게 한 8할은 뮤지컬이다. 지난 해 그는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를 하면서 생애 첫번째 상(한국뮤지컬대상 남우주연상)을 탔고, 다음달 14일까지 계속되는 앵콜 공연 역시 전회 매진됐다. 그는 “이 정도로 폭발적인 반응이 나타날 줄은 몰랐다”며 겸손해하면서도 뮤지컬과 영화 중 어느 장르가 더 매력적이냐는 질문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싶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연기에 대한 구분은 무의미해 보여요. 뮤지컬이 필요로 하는 파워풀한 연기력과 영화에서 갖춰야 할 자연스러운 모습이 배우에겐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어떤 장르의 배우로 불리기보단 그냥 연기자, 배우로 꾸준히 나가고 싶어요” 뮤지컬 배우 남경주에 이어 ‘차세대 주자’ 1순위로 손꼽히는 그인만큼 국내 공연 현실에 대한 걱정도 놓지 않았다. “국내 경쟁력이 확보가 안 되는 상황에서 외국 작품들이 물밀듯이 밀려 오는 건 어쩔 수 없는 현실이에요. 아직은 국내 창작 공연에 대한 기획사들이나 투자자 모두 인식이 많이 바뀌지 않았어요. 하지만 공연으로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투자가 아껴지지 않아야 해요. 할리우드를 제친 한국영화가 나온 것처럼 곧 브로드웨이를 능가하는 창작 공연도 나올 수 있으리라 확신해요.”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