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盧대통령 "대학은 산업이 돼야 한다"

이기준 교육부총리 도덕성시비 의식한듯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6일 이기준(李基俊) 신임 교육부총리 임명 철회 논란과 관련, "우리 대학이 경쟁시대를 맞아 개혁.개편되고 선진화돼야 한다"면서 "대학은 바로 산업이고, 산업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참모진들과 만난 자리에서 "중등교육은 전인교육의 공교육으로써 정착되고 있고, 이에 대한 국제적 평가가 나오고 있으나 대학은 평가가 하위에 머물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고 이병완(李炳浣)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했다. 노 대통령은 또 "현재 우리 교육의 문제는 대학의 경쟁력 확보와 구조조정 여부에 있다"면서 "아울러 인적자원개발, 특히 이공계 인적자원 개발의 경쟁력 확보가필요한게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 수석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노 대통령은 이같은 대학의 구조조정 및소프트웨어 개선에 있어서 어떤 분이 (교육부총리를) 하는 것이 맞는지 고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같은 입장 표명은 이기준 부총리와 가족의 도덕성 시비와 이 부총리 선임과정에서 공식 인사시스템보다 이 부총리와 `40년 지기'인 김우식(金雨植) 청와대 비서실장의 개인적 영향력이 더 크게 작용한게 아니냐는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한 노력의일환으로 풀이된다. 이 수석은 또한 "이 부총리의 흠결은 총장 재직시 다 드러났으며, 사회적 코스트(비용)를 이미 다 지불했다"며 "총장으로 재직하면서 추진했던 내용 등을 감안해대학의 국제경쟁력 확보에 적격이라는 판단을 한 것으로, 실용주의적으로 접근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부총리 임명을 둘러싼 교육.시민단체의 반발에 대해서도 "이 부총리의흠결에 대한 비판이 터무니 없다는 것은 아니다"며 "다만 대학 개혁, 이공계 인적자원개발 등에 대한 고심 끝에 결정한 만큼, 향후 이 부총리의 업무로 평가해 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그는 이어 이 부총리의 서울대 총장 재직시 판공비 과다집행 문제에 대해 "개인적으로 치부한게 아니며, 재산관계에 있어 명료하고 청빈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사외이사 겸직문제에 대해서는 "당시는 기관장의 허가 및 용인 아래 가능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각각 말했다. 또한 이 부총리의 아들 병역의혹에 대해서는 "문제가 불거졌을 당시 귀국, 공익근무를 마치지 않았느냐"며 "현재 기업이나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에서도 외국인CEO 및 학자를 기용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춰 도덕적 비난의 시각을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종민(金鍾民) 대변인은 이 부총리 아들의 한국국적 포기와 관련, "민정수석실의 인사검증 과정에서 확인됐던 사안"이라며 "이 문제 역시 인사결정 과정에서 판단된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 수석은 이 부총리와 김우식 청와대 비서실장과의 친분 관계와 관련, "다른 대학 출신들이 공동 주제를 갖는 게 지금 대학 형편에서는 힘든게 아니냐"고반문하고 "좋게 해석할 수 있는 부분도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 김범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