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감위, 재간접 헤지펀드 투자 요건 대폭 강화

최소 투자금액 1억~2억원 적용 검토중 앞으로‘재간접 헤지펀드’에 대한 투자 요건이 대폭 강화된다. 금융당국은 재간접 헤지펀드의 최소 가입금액을 1억~2억원 수준으로 높일 방침이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자산운용과장은 31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형 헤지펀드의 투자위험이 국내에 설정된 재간접 헤지펀드와 다를 바 없다는 의견에 공감한다”며 “재간접 헤지펀드의 투자요건을 대폭 강화하는 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금융 감독 당국이 최근 한국형 헤지펀드의 최저 투자금액으로 5억~10억원을 제시하고 있는 것과 달리 동일한 투자 위험에 노출되는 재간접 헤지펀드의 경우 일반 사모펀드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업계에서는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국내 대부분의 재간접 헤지펀드가 1개 혹은 2~3개의 헤지펀드에 투자하고 있어 싱글 헤지펀드와 다를 바 없지만 최소 투자금액은 일반 사모펀드 기준인 5,000만원에 불과하다. 권 과장은 “싱가포르의 경우 재간접 헤지펀드가 최소 15개의 헤지펀드에 투자하도록 하고 있는 점을 참고해 국내 투자 요건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소 투자금액에 대해서도 권 과장은 “1억~2억원 수준이 적합하다고 보고 업계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당수 운용사들이 재간접 헤지펀드 운용에 나서는 데 대해서도 제동을 건다는 방침이다. 권 과장은 “재간접 헤지펀드 운용에만 집중하면 하청업체와 다를 바 없다”며 “자칫 재간접 헤지펀드 시장만 급성장하는 ‘가분수’ 상태가 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