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UNDP, 對北 현금지급 중단

외부감사도 실시… 6자회담 악영향 가능성

유엔개발계획(UNDP)이 오는 3월부터 북한 내 사업에 대한 현금지급을 중단하고 대북사업 외부감사를 실시한다. 이는 미국 언론이 ‘북한에 제공된 UNDP의 수천만달러 자금이 핵무기 개발 등 다른 곳에 유용됐을 가능성’을 제기한 데 대한 조치로 북핵 6자 회담 등에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애드 멜커트 UNDP 총재보는 19일(현지시간) 유엔본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3월부터 북한 정부와 현지 사업 파트너, 현지 직원 등에 대한 현금지급과 북한 정부를 통한 현지직원 채용을 중단할 것”이라며 “대북사업에 대한 외부감사를 다음주 집행이사회에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UNDP의 대북사업에 대한 이 같은 강경 대응은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사설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지난 98년 이후 조달한 수천만달러의 UNDP 대북사업 자금을 핵개발 프로그램에 사용하거나 개인적으로 유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WSJ는 “석유ㆍ식량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엔 자금을 악용한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에 이어 김 국방위원장도 UNDP의 대북사업을 이용해 핵개발 자금을 조달했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UNDP가 제공한 현금이 김 국방위원장의 주머니로 들어간 것이 거의 확실하며 이는 핵개발 프로그램 등으로 유용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비록 UNDP의 대북사업이 북한의 핵ㆍ미사일 계획과 관련된 모든 물품의 교역을 제한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718호를 위반한 것은 아닐 수도 있지만 유엔 정신을 위반한 것임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UNDP뿐 아니라 유엔아동기금(UNICEF), 유엔난민기구(UNHCR), 세계식량기구(WFO) 등 유엔 자금으로 지원되는 모든 사업에 대해 즉각 전면조사를 실시하라고 지시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