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신용평가기관 중 가장 먼저 한국의 신용등급을 ‘A’로 상향 조정한 스탠더드앤푸어스(S&P)가 ▦노동시장 경직성 축소와 정부의 신용 및 보증활동에 따른 경제 왜곡현상 시정 여부 ▦북한의 제반 변화 여부에 따라 신용등급이 추가로 조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세계 최대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한국기업들의 신용등급이 오르고 있지만 국가등급과는 별개의 문제이며 북한핵 문제가 진전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달라진 게 없는 만큼 당분간 한국의 신용등급을 조정할 계획이 없다고 발표했다.
27일(현지시간) 이번 신용등급 상향 조정을 총괄한 존 체임버스(사진) S&P 이사는 “한국 금융 부문이 꾸준히 개선돼왔고 통화의 유연성이 강화된 점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며 “은행의 평균 자산수익률(ROA)이 0.8%를 기록할 정도로 은행권의 수익성이 좋아졌고 이사회의 절반 이상이 사외이사로 구성되는 등 기업 지배구조도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화환율의 유연성에 대해 “S&P는 한국이 완전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다고 보지는 않지만 주요 교역 상대국과 비교할 경우 원화 변동폭이 이전보다 크게 증대되었다”며 “이는 한국은행의 좀 더 독립적인 통화정책 시행과 외환수급 관리에 따른 손실 감소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체임버스 이사는 “올해 말에는 한국의 순외채 규모가 경상수입의 22%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이고 외환보유액도 단기외채 대비 비율이 30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등 대외수지가 견실해졌다”고 덧붙였다. 또 “6자 회담이 재개돼 한반도에서 군사적인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은 줄어들었지만 추후 북한이 합의내용을 이행했는지를 검증하는 게 쉽지 않고 북한 경제 붕괴에 따른 부담도 상당해 여전히 신용등급 상향에 제약요인이 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톰 번 무디스 부사장은 S&P가 국가 신용등급을 올린 데 대해 “무디스는 삼성전자ㆍSKㆍ포스코 등 개별기업의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했지만 이는 국가 신용등급 결정과는 별개의 일이며 북한핵 문제는 기본적으로 변한 게 없다”며 “당분간 신용등급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