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극장 공연, 개인투자자 늘어난다

'슈사인보이' '빨래' 등 지인 중심 자금조성 후원<br>극단 재원 조달-투자자는 수익얻어 "윈윈 기대" 계획


지난 5일 대학로 예술극장 ‘나무와 물’에서 개막한 뮤지컬 ‘슈샤인보이’. 유명 극단이나 제작사에 몸 담은 적이 없는 공학도 출신의 유경호 씨가 연출을 맡아 공연계에 데뷔했다. 공연계 배경이 없는 까닭에 무엇보다 재원 조달이 어려웠다. 유 씨에게 도움의 손길을 준 이들은 대학 선후배와 친구들. 이들은 제작비의 4분의 1 정도 되는 약 2,500만 원의 펀드를 조성해 공연에 투자했다. 최근 개미들의 소극장 공연 투자가 늘고 있다. 사모펀드, 창업투자사 등 금융계의 공연 투자자들이 대형 공연에만 관심을 보여 소극장 공연으로 자금이 흘러 들어오지 않으면서 생겨난 일. 현재까지는 수익을 거두겠다는 투자 목적보다는 문화 후원의 성격이 강하지만 일부 공연은 곧 투자 수익도 분배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개미투자자와 소극장 공연의 매칭이 서로 윈윈하는 결과를 불러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소극장에 투자하는 개미들= 지난 3~8월 공연한 소극장 뮤지컬 ‘빨래’는 개미투자자들의 힘으로 무대에 다시 오를 수 있었다. 2005년 초연한 뒤 호평을 받았지만 약 7억 8,000만 원 가량되는 제작비를 조달할 길이 없어 제작사는 재공연할 엄두를 못 내고 있었다. 초연 당시 공연을 관람했던 한 한의사는 소식을 전해 듣고 공연에 투자를 제안했다. 여기에 한 법무법인 역시 투자에 동참하면서 제작비 대부분이 마련되자 재공연을 할 수 있었던 것. 예비 관객들이 친목계 형식으로 지원하는 형태의 투자도 등장했다. 극단 ‘신명나게’에서 선보인 ‘신나게 공연볼 계(契)’는 월 4,000씩 총 4만 8,000원을 1년 동안 할부로 내면 2만 원짜리 공연 티켓 4장을 받을 수 있는 방식. 계를 선보인 지 2달 정도 지난 현재 약 80명의 친목 회원들이 약 200장의 티켓을 미리 구매해줬다. 제작사는 공연을 보기 전에 미리 지급한 곗돈을 바탕으로 차기 작품의 제작비를 일부 충당했다. ◇개미투자와 소극장 공연, 윈윈이 가능한 매칭= 공연 제작사에서 개미 투자자들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는 이유는 재원 조달이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창업투자사, 공연투자 펀드 등은 현재 600억 원 이상 조성돼 있지만 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대형 공연이 아니면 투자하길 꺼린다. 국내 한 투신운용사의 관계자는 “10억 원 미만의 투자는 수고와 노력에 비해 성과가 미미하다”며 “뮤지컬 ‘캣츠’ 등 제작비 100억 원이 넘는 대형 공연에 치우칠 수 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소극장 공연의 재원은 결국 제작자가 사재를 털어 마련하는 등 스스로 해결할 수 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인맥을 통해 알게 된 지인들을 중심으로 개미 투자자들이 형성된 것. 현재 개미들은 투자보다는 후원의 목적으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뮤지컬 ‘빨래’ 등 수익이 발생한 일부 공연을 중심으로 개미들에 대한 수익 배분 계획이 세워졌다. 멀리 내다보면 개미투자자들이 소극장 공연의 재원이 되고, 개미투자자도 공연을 통해 수익을 얻게 되는 선순환 고리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말이다. 김성수 문화평론가는 이와 관련 “소규모라는 점에서 개미투자자와 소극장 공연의 매칭은 바람직하다”며 “기업과 금융 기관들이 관심을 갖지 않는 소극장 공연의 재원 마련에 대한 유일한 대안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