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청와대 비서진 개편설 솔솔

"집권 2년차 앞두고 국정과제 가속도"

박근혜 대통령의 집권 2년차를 앞두고 청와대 비서진 개편설이 점차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 조직 안정에 힘을 쏟는 집권 1년 차와 달리 2년 차에는 본격적으로 국정과제에 속도를 내야 하는 만큼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인적 쇄신을 준비하는 모양새다.

8일 청와대에 따르면 비서진에 대한 업무 실적 평가와 국정과제 이행 상황 평가 작업을 하고 있다. 이에 더해 정부에서 파견된 인사 수요까지 맞물려 개편 작업이 진행 중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 비서진의) 업무 평가는 갑자기 이뤄진 것이 아니라 상시적으로 해오던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인사 수요가 있을 때마다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국정과제 평가는 각 수석실과 정부부처가 국정과제를 어느 정도의 속도로 추진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현재 청와대는 비서관과 행정관 인사를 점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정무수석실 소속 강신명 사회안전비서관의 경우 지난 3일 경찰청 치안정감급 인사에서 서울지방경찰청장으로 발탁됐다. 이명박 정부부터 청와대에서 근무해온 국가안보실의 김희철 위기관리센터장은 지난달 전역신고서를 제출했다.

민정수석실의 이혜진 법무비서관과 고용복지수석실의 정영순 여성가족비서관도 교수직으로 복귀하기 위해 각각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앞서 10월에는 미래전략수석실 과학기술비서관이 양성광 전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선도연구실장으로 교체된 바 있다.

이와 더불어 정치권에서는 국회 예산안 처리가 마무리된 후 개각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청와대가 정부부처에 대한 실적 평가를 하고 있다고 전해지면서 개각론에 대한 언급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9월 말 "분명하게 개각은 없다"고 선을 그은 후 별다른 입장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