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개편서 빠진 노동·환경부·공정위도 조직 20%이상 줄인다

‘1ㆍ16 정부조직개편’에서 한발 비켜서 있던 노동부ㆍ환경부ㆍ공정거래위원회에 대해서도 20% 이상 조직축소가 추진된다. 18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한 핵심 관계자는 “이번 정부개편에서 환경부ㆍ공정위는 일부 기능이 더해지고 노동부는 바뀌는 게 없지만 다른 부처와 마찬가지로 조직을 줄이고 슬림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부2처5위원회가 폐지된 이번 정부조직개편의 영향을 받지 않고 남은 부서는 국방부ㆍ법무부ㆍ노동부 등 3곳이다. 또 기상청과 재정경제부의 소비자정책이 각각 이관된 환경부와 공정위는 조직이 커졌다. 이 관계자는 또 “노동부ㆍ환경부ㆍ공정위가 스스로 조직을 슬림화할 것으로 믿지만 그대로 있으면 위에서 나설 것” 이라며 “이명박 당선인이 정부조직개편 대상이 아닌 청와대의 인력을 20%나 줄인 것은 ‘어떤 부처도 슬림화에 예외가 없다’는 경고를 전체 공무원에게 보낸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 당선인은 정부조직개편안에서 청와대의 현재 정원 533명 중 장관급 실장 3자리, 차관급 수석비서관 2자리, 비서관 17자리 등 106자리를 줄였다. 특히 공정위는 당초 폐지하고 기획재정부로 이관하는 안을 검토했다가 부활한 것으로 확인돼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요구될 것으로 전해졌다. 인수위 관계자는 “기획재정부의 비대화를 우려해 공정위가 존치됐지만 ‘공정위가 획기적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당선인의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한편 법무부는 자체적으로 조직 재편성을 통한 다이어트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 반면 국방부는 아직 별다른 구조조정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