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합참ㆍ정부통합 전산센터도 뚫렸다

전산 프로그램 개발ㆍ관리업체에 취직 간첩 용의자<br>5년간 각종 기밀ㆍIP 유출…합참 드나들며 2회 방북

(자료사진=위 기사와 관련없음)

'주체사상' 홈페이지를 만들고 북한을 두 차례나 방북했던 인물이 군사보호시설인 합동참모본부 전산센터와 행정안전부 정부통합전산센터(대전) 등을 수시로 드나들며 군 기밀과 정부기관ㆍ기업 전산자료를 빼낸 것으로 2일 확인됐다. 공안당국은 지난 2005년 3월부터 5년간 정부기관의 전산 프로그램을 개발ㆍ관리하는 N사에서 일하면서 합참의 '통합지휘통제시스템(KJCCS) 제안요청서', 우리 군의 '노드 IP주소'를 포함한 군 기밀을 빼낸 혐의로 K(43)씨를 조사하고 있다. ◇軍 서버에 저장된 자료 수정ㆍ삭제까지 가능 공안당국이 작년 12월 압수한 K씨의 외장 하드디스크에는 1,500여개 폴더에 1만2,300여개 파일이 저장돼 있었다. 여기에는 합참 방위사업청 조달청 금융감독원 대검찰청 교육청 등 10여개 정부기관과 국회사무처 신협 우체국금융 한국개인신용 한국고용보험 사학연금과 인천공항공사 인천공항철도 인터파크 포스코 하이닉스 등 공공기관ㆍ기업 전산자료가 포함돼 있으며 파일의 용량은 신문 30만장 이상에 해당하는 5.38GB(기가바이트)나 됐다. 이 중 KJCCS는 작전사령부급 이상 부대에 전ㆍ평시 전장(戰場)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해 부대 간에 공유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한국군 C4I(지휘·통제·통신·전산 정보체계) 구축과 관련이 있다. KJCCS 제안요청서는 60여쪽 분량으로 군 기밀이 포함돼 있어 합참이 입찰 참여업체에 10여매 배포한 뒤 회수했다. 제안요청서를 입수하면 전쟁시 합참과 작전사령부급 이상의 지휘통제체계 운영 모습을 그려볼 수 있다. 제안요청서는 조달청 입찰 통합시스템(나라장터)에 공시됐지만 파일 제목이 '120XXXXXXXXXXX-1.hwp'로 돼 있어 일반인은 절대 찾을 수 없다고 한다. 노드 IP주소는 우리 군의 주요 컴퓨터에 접속하는 주소로 이게 유출되면 외부에서 해당 서버에 저장된 자료를 추가ㆍ수정ㆍ삭제할 수 있다. K씨가 빼낸 정부기관 자료 가운데 '제1정부 통합전산센터 2단계 구축제안서' 'WAS(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소스와 관련된 IP' 등도 기밀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K씨는 2007~2008년 합참 전산센터를 15번이나 들락거렸고, 2007년 정부통합전산센터를 3회 출입했으며 전산센터의 100여개 IP 주소와 외부에서 이 전산센터에 접속할 수 있는 공인 IP도 5개나 보유했다. 금감원·대검·인천공항공사 등의 전산센터도 별도의 신원검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출입했다. ◇'주체사상' 홈피 운영하다 구속… 신원조회 등 허술 검찰은 K씨가 2007년 1월과 2008년 2월 방북한 적이 있어 북한의 지령을 받은 뒤 인터넷 등을 통해 기밀을 북한에 넘겼는지 수사하고 있지만, 묵비권을 행사하고 있는데다 증거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초 신청한 구속영장(국보법 위반 혐의)도 법원이 '북한의 지령을 받았거나 북한에 기밀을 넘겼다는 소명이 부족하고 도주ㆍ증거인멸 우려가 적다'는 이유로 기각했다. K씨는 2002년 2월 포털사이트 프리챌에 '주체사상'이란 홈페이지를 열어 이적표현물을 올리다가 국가보안법 위반(찬양ㆍ고무) 혐의로 구속돼 그해 12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형을 선고받았다. 2008년 4월에는 북한의 대남공작부서인 통일전선부 산하 평양 6·15정보기술사가 운영하는 인터넷사이트 '려명' 관계자와 e메일로 접촉하기도 했다. 그런데도 K씨는 2005년 3월 정부ㆍ기업의 전산정보를 관리하는 N사에 취직, 그해 12월 합참의 KJCCS 통합관제시스템 구축 사업에 참여했다. 2007~2008년 군사보안시설인 합참 전산센터를 15번이나 들락거렸고, 2007년 정부 전산자료를 총괄하는 정부통합전산센터도 3회나 출입했다. 이에 따라 합참과 정부통합전산센터 등이 K씨에 대한 신원조회를 했는지, 안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의혹이 커지고 있다. K씨는 제주도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초·중·고교와 대학(물리학과)을 졸업했으며 2004년 9월 IT업체 M사에 입사했다가 그만두고 이듬해 3월 N사에 들어갔다. 작년 3월 전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보안 서약서' 제출을 거부해 정직(停職)당했다. 2002년 5월 민노당에 입당했으며 이듬해 8월 민노당 게시판에 "기회가 주어진다면 '간첩질'할랍니다" "내 주머니 사정이 허락된다면 돈도 (북에) 건네줄 생각이다. 합법적이든, 비합법적이든 가리지 않고 하겠다"고 적었다. /속보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