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택시 파업 큰 불편 없었다

전국 참여율 28% 그쳐… 노조 4단체, 야간 운행중단 카드 만지작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인정하는 일명 ‘택시법’ 관철을 주장하며 돌입한 택시파업이 예상보다 훨씬 적은 규모로 진행됐다. 정부가 택시법대신 택시지원법을 내놓고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는데다, 업계의 파업 참여율마저 저조해 택시법이 점차 동력을 잃어가는 모양새다.

국토부는 20일 파업에 참여하기로 한 8개 시도 등록택시 15만3,256대 가운데 오후 1시 현재 31.2%에 해당하는 4만7,880대가 파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8개 시도 중 등록 택시가 7만대로 가장 많은 서울은 오전에는 0.3%에 불과한 200대만이 운행중단에 참여했다가 오후에는 23.1%인 1만6,682대로 늘었다. 택시들의 파업 참여율이 저조해 서울지역은 출근 시간에도 손님을 태우고 도로를 달리는 택시를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관련기사



등록택시 234대가 모두 운행중단에 참여했던 세종시는 오후부터 100% 정상운행에 들어갔으며 대전지역은 아예 파업에 참여하지 않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은 법인이든 개인이든 실시간으로 운행정보가 다 드러난다는 점에서 유가보조금 지급 정지 등을 우려한 사업자들의 정상운행 의지가 강한 편이었다”고 전했다.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등 택시업계 4단체 약 2만명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평화의 광장에 모여 ‘대중교통법 즉각 재의결하라’, ‘택시가족 다 죽는다’ 등의 구호가 적힌 팜플렛을 손에 들고 시위를 벌였다. 4단체는 이날 택시 의존도가 가장 높은 밤 11시부터 오전 5시까지 운행을 멈추는 ‘야간 운행중단’ 카드도 만지작거리고 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