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참고서 사면 화장품·상품권이 덤"

교육업체들 신학기 맞아 판촉 강화

2학기가 시작됐다. 새로운 학기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2학기 교과서를 훑어보며 새 학기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덜고 새로 배울 내용에 대해 흥미를 갖는 것이 좋다. 특히 수학의 경우 1학기 학습과 연계돼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요구해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학교수업에 임하면 2학기 내내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 조경희 씨매쓰수학연구소 소장은 "엄마들은 내가 내 아이를 가장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아이의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히 판단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있다"며 "내 아이의 성향을 정확하게 파악해 다양한 특성에 맞는 학습방법을 찾아 학습활동을 지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이 유형에 맞는 수학교육법을 알아봤다. ◇자기 고집이 있고 활달한 아이는 아이의 의견 충분히 반영=성격이 활달하면서도 자기 고집이 있는 아이는 사고도 자유로운 경향이 있다. 이런 성격은 가만히 앉아서 문제를 푸는 것을 지루해 하거나 시간표를 빡빡하게 짜서 학습하도록 강요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 학습지 한 페이지를 놓고 그냥 몸을 이리저리 뒤틀다가 시간을 허비하기도 한다. 이럴 때는 엄마가 아이와 함께 아이의 의견을 충분이 반영해 계획을 세우도록 해야 한다. 엄마가 짜 주는 시간표로는 아이와 실랑이를 하다가 시간을 다 보내게 될지도 모른다. 하루에 공부하는 양을 일정하게 하기 보다는 학습내용이나 상황에 따라 양을 조절한 다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개념이나 원리를 배우거나 문제를 풀 때도 자기 힘으로 방법을 알아내는 것에 흥미를 가지므로 아이의 의견을 자유롭게 발표하고 이야기를 들어주고 칭찬해주면 더 의욕적으로 학습을 하게 된다. ◇차분하고 소극적인 아이는 관찰과 관심을 가져줘야=차분한 아이들은 새로운 것을 배우는 데는 소극적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잘하려는 욕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겉으로 보기에 적극적인 아이보다 내적 욕구는 더 강할 수도 있다. 그래서 학습에 좌절을 겪으면 더 회복하기가 힘들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아이들은 공부를 시킬 때 더 많이 관찰하고 관심을 가져주어야 한다. 대부분 차분해서 부모가 세세하게 돌보는 데 소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수학에 대해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를 해주어야 한다. 이런 유형의 경우 일단 안정감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엄마가 계획표를 짜 주는 것도 좋다. 계획에 따라서 매일 일정한 시간 동안 학습을 하면서 조금씩 효과가 나타나면 자신감이 형성된다. 성실함과 자존감이 가장 중요하므로 매일매일 꾸준히 해나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호기심이 많고 산만한 아이에게는 잔소리 자제=호기심이 많고 새로운 것에 관심이 많으나 관심이 지속적이지 않은 아이들은 공부시키는 데도 애로점이 많다. 그러다 보니 부모가 잔소리를 많이 하게 되고 부모의 잔소리가 많아질수록 아이들은 더 산만해지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진다. 따라서 부모가 잔소리를 자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학습을 할 때도 길게 설명하는 방식은 맞지 않다. 교실에 앉아서 듣는 강의식 학습보다는 교구를 이용하거나 활동을 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학습계획을 세울 때는 아이에게 호기심이 생길 수 있도록 간단히 내용을 짚어주면서 계획을 세우도록 한다 ◇친구나 다른 사람에게 관심이 많은 아이는 칭찬을 많이 해줘야=사람들에게 관심이 많은 아이는 또 다른 모습의 산만함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TV 드라마에도 관심이 많고 공부하다가도 부모가 대화를 나누면 언제 왔는지 옆에 와서 끼어들고는 한다. 이런 아이들은 인간적인 면에 관심이 많고 상호작용이나 다른 사람의 의견을 중시한다. 때에 따라 비판적인 말을 들으면 상처를 많이 받기도 하고 친구들의 관계에서 상처를 받기도 한다. 이런 경우 특히 중요한 것은 칭찬이다. 혼을 낼 때도 먼저 칭찬을 하고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고 다시 칭찬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아이가 자신이 할 수 있는 선을 잘못 정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아이에게 맡기면 계획을 너무 적게 세울 수도 있고 너무 무리하게 세울 수도 있으므로 엄마가 적당한 선을 유지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