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횡단보도 신호등 27% 교통사고 유발 위험"

신호등, 횡단보도 등 각종 교통안전시설물이 교통소통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채 설치돼 교통정체나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중대한 요인이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국회 행정자치위 金忠兆의원(국민회의)은 4일 서울경찰청 국감 질의 자료에서"경찰청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교차로내에 설치된 횡단보도 1만2천1백3곳 중 27.1%인 3천2백83곳이 차량진행신호 종료와 동시에 횡단보도 보행신호가 켜지며, 24.3%인 2천9백43곳이 횡단보도의 보행신호 종료와 동시에 차량진행신호가 켜져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은 전체 5천2백52곳 중 2천3백68곳(45.1%)이 차량진행신호 종료와 동시에 횡단보도의 보행신호가 점등되고, 2천6백44곳(50.3%)은 횡단보도의 보행신호종료와 동시에 차량진행신호가 점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의 경우, 교차로에 설치된 횡단보도 중 1천4백89곳이 교차로로부터 6M이내에 설치돼 있고, 시내버스 정류장 5천25곳 중 10%정도인 5백18곳이 교차로나 길모퉁이로부터 20M 이내에 근접설치돼 차량정체 및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金의원은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