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40년만에 개발 길 열린 알짜땅 탐방] <1> 압구정지구

기아차사무소·SM타운 중고층 상가·업무시설 가능

총 41만㎡ '기회의 땅'으로

아파트지구서 분리 갤러리아 공공기여 등 감안 용적률 조정

강북에서 바라본 압구정지구 전경. 대형 유통시설은 물론 미활용 학교 부지나 저층 상업시설이 밀집해 있어 아파트지구 해제에 따른 기대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경제DB


서울경제신문은 그동안 아파트지구로 묶여 있어 개발이 40년가량 제한돼왔던 서울 강남 '알짜 땅'에 대한 탐방을 시작한다. 압구정 아파트지구를 시작으로 서초·여의도·반포지구 등의 현황을 살펴보고 아파트지구 해제가 가능한 곳들에 대한 서울시의 방침을 소개한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도시 여건이 크게 변화한 만큼 지역별 요구를 다양하게 반영해 도시계획을 세우기 위한 것"이라며 "역세권화·상업지역화·업무지역화 등을 반영해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지구단위계획을 세울 예정"이라고 말했다.

압구정 아파트지구 내 주택용지 이외의 땅은 중심시설용지 4만9,590㎡, 개발잔여지 7,796㎡, 기반시설용지 36만1,301㎡로 총 52만5,896㎡에 달한다. 개발이 제한적인 도로 10만7,207㎡를 제외하더라도 41만8,693㎡ 규모의 부지가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개발이 가능해진 셈이다.


유형별로 보면 우선 중심시설에 해당하는 압구정로데오역 인근 갤러리아백화점(생활관·명품관)과 압구정역 인근 현대백화점 등의 층수 조정이 가능해진다. 그동안 아파트지구에 묶여 있어 층수가 5층 이하로 제한됐지만 역세권 인접지역으로 필요한 경우 아파트지구에서 분리해 개발할 수 있게 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압구정지구는 압구정 로데오거리·가로수길 등이 가까워 상업시설 수요가 높았지만 이를 수용할 유통·문화시설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다"며 "층수나 용적률은 인근 지구단위계획과의 연관성 및 공공기여 정도를 고려해 결정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특히 갤러리아 생활관과 명품관은 제3종일반주거지역(용적률 250%)임에도 용적률이 각각 154.86%, 182.88%에 불과해 용적률 확보 및 용도지역 상향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됐던 곳이다. 주민참여를 전제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개발할 수 있게 된 만큼 층수나 용적률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파트를 짓고 남은 자투리땅인 개발잔여지의 경우 기아자동차 사무소(압구정동 518)와 SM타운(압구정동 521)이 위치한 부지가 대표적이다. 사전 자문을 거쳐 타당성이 인정되면 압구정로변 지구단위계획과 연계해 관리하게 된다. 그동안 신축건물의 높이가 5층 이하로 제한됐지만 주변 여건 등을 고려해 타당성이 인정될 경우 중고층의 상가나 업무시설도 허용된다.

압구정동 R공인 관계자는 "개발잔여지는 입지에 비해 투자가치가 낮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다양한 형태의 개발이 가능해질 경우 땅값이 대폭 상승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압구정지구 내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폐지 및 지구단위계획 수립도 가능해진다. 압구정동 423 일대의 경우 학교용지임에도 골프연습장과 테니스장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도시계획시설 폐지 이후 토지주가 공공기여를 포함한 지구단위계획을 주민제안할 수 있다. 현대백화점과 접해 있는 도시계획시설(지상공원·지하주차장) 역시 지구단위계획 수립으로 개발이 가능해진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