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교육청 '학업평가 대비한 수업파행' 실태조사

서울시교육청이 오는 13~14일 치러지는 학업성취도평가를 앞두고 일선 초ㆍ중ㆍ고교를 대상으로 수업 파행 실태조사에 착수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은 8일 오후 시교육청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시교육청 소속 장학사들에게 학업성취도평가에 따른 일선 초·중·고교 수업 파행 실태를 전면 조사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지난 6일 실태조사 계획을 세운 뒤 서울 지역 장학사 전원을 각급 학교에 급파했다. 8일 400여개 학교 상황을 점검하고 9일까지 서울 지역 전체 학교를 조사할 계획이다. 일선 학교들이 정상적으로 교과과정을 운영하지 않고 평가에 대비해 문제풀이 수업을 하거나 방과후학교ㆍ보충수업ㆍ야간자율학습을 강제적으로 실시하고 있는지 등이 조사대상이다. 곽 교육감은 실태조사에 착수한 이유에 대해 “‘시험으로 수업파행 사례가 없도록 하라’는 교육과학기술부 지침을 적극 이행한다는 취지”라면서 “지금까지 드러난 파행은 책임을 묻지 않겠지만 9일 이후부터 잘못된 사례가 발견되면 엄격한 감사를 거쳐 문책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평가를 잘 받기 위해 초등학교에서 0교시 수업을 실시하는가 하면 야간자율학습이 이뤄지고 있다는 조사결과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이 발표한 뒤에 나온 것이어서 미묘한 파장을 낳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실태조사를 두고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해 부정적이면서도 일단 시행하기로 한 곽 교육감이 수업파행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교육 당국을 상대로 평가 반대 주장을 펴기 위한 근거로 삼으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보고 있다. 한편 곽 교육감은 개별 학교에 학업성취도 평가 선택권을 부여할지 여부에 대해 “실태조사 결과도 봐야 하고 고려할 사항이 있어 아직 말할 수 없다”며 확답을 피했다. 학생인권조례 제정 문제에 대해서도 “더 내실 있는 협의와 조율을 거칠 필요가 있다”면서 수위를 조절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