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조성 '삐걱'

광주시, 혁신도시 중심축 이동·새 산업단지 건설 추진<br>전남도·나주시 "혁신도시 효과 흡수 속셈…용납불가"

전국혁신도시 가운데 유일하게 시ㆍ도의 협력으로 추진된 광주ㆍ전남 공동혁신도시가 본격 조성을 앞두고 삐걱거리고 있다. 논란의 발단을 제공한 곳은 광주시. 광주시는 현재 나주시 금천면 동악리를 중심으로 계획돼 있는 혁신도시 중심축을 광주시계(市界)를 이루고 있는 지석강 쪽으로 옮겨줄 것을 전남도에 요구해왔다. 광주시가 이 같은 중심축 이동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혁신도시 입지를 양보한 만큼 중심축을 광주 방향으로 이동시켜 인구 유입과 건설경기 등 혁신도시 관련 효과를 흡수하겠다는 속내를 내비친 것. 특히 지난 4일 박광태 광주광역시장은 직원정례 조회에서 “공동혁신도시와 시 사이에 새로운 산업단지를 조성, 광주ㆍ전남이 공동으로 산업을 육성시켜 나갈 것”이라며 “새로운 산단이 조성되면 항공과 로봇, 가전산업 등 21세기 첨단 미래산업을 입주시킬 것”이라고 밝혀 논란에 불을 지폈다. 광주시가 공동혁신도시와 관련해 이처럼 잇따라 논란을 제기하고 있는 것은 광주와 함께 나주ㆍ화순ㆍ담양ㆍ장성 등 4개 전남지역 자치구를 통합하는 250만명의 ‘신광주 메트로폴리탄’ 건설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박 시장은 취임식에서 장성-나주, 나주-화순 등 시외곽도시를 연결하는 제 3순환도로 건설계획을 밝혀 시의 광역화 의도를 나타냈었다. 광주시의 이 같은 움직임에 전남도와 나주시는 큰 우려를 표시하고 나섰다. 나주시는 “혁신도시와 광주시 사이에 새로운 산단을 조성하고 혁신도시의 중심축 이동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혁신도시의 효과를 흡수하겠다는 광주시의 의도를 나타낸 것”이라며 “중심축 이동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전남도도 5일 기자회견을 갖고 “당초 시ㆍ도지사가 합의한 대로 혁신도시 건설이 이루어질 것”이라며 광주시의 요구를 거부하고 나섰다. 전남도와 나주시의 이 같은 강력한 반발에 광주시도 한걸음 물러났다. 박 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혁신도시 조성에 따른 시도간 이견(異見)은 없다”며 “전남도의 뜻대로 할 생각이다”고 밝혔다. 시ㆍ도민들은 “공동혁신도시의 본격 건설을 앞두고 시ㆍ도의 이 같은 갈등으로 자칫 조성을 늦춰질 수도 있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