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LG카드 어디로…

`기업구조조정촉진법(구촉법)을 통한 공동관리냐, 아니면 채권단 자율협약에 의한 공동관리냐. 이도 저도 아니면 청산을 해서 끝내고 말 것이냐…` LG카드를 연말까지 채권은행에 인수시키려던 계획이 사실상 수포로 돌아가면서 LG카드 처리는 이 세가지 방향으로 압축됐다. 그러나 이해당사자간의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면서 해법을 찾지 못한 채 막판 혼미를 거듭하고 있다. 상당수 채권은행들은 아예 구촉법에 따라 처리하든지, 아니면 청산시키는 것이 낫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반면 금융당국과 주채권은행은 구촉법을 적용할 경우 LG카드가 자산유동화증권(ABS)의 조기상환요구 등에 휘말리면서 영업을 중단해야 할 지도 모른다면서 자율협약에 의한 공동관리를 일단 밀어 부치는 분위기다. 그러나 문제는 LG카드의 유동성이 이미 벼랑 끝에 몰려있다는 점이다. 채권단은 추가 지원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내년 1월초면 LG카드의 유동성이 또다시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말까지 해결점을 찾지 못할 경우 새해 벽두부터 금융시장이 또다시`LG카드발(發)위기`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채권은행장 “차라리 구촉법으로 가자”=29일 아침 열린 10개 채권은행장(종전 8개은행 외에 한미ㆍ외환은행장 참석) 회의는 지금까지의 LG카드 처리과정에 대한 성토장을 방불케 했다. 이날 회의에는 10개 채권은행 외에 삼성ㆍ대한ㆍ교보 등 3개 생보사와 삼성ㆍLGㆍ동부 등 3개 손보사까지 끼워 넣어 총16개 채권금융기관이 자율협약에 따라 공동관리에 나서는 안건이 상정됐다. 이 방안을 전제로 16개 기관이 총4조원(선(先)유동성지원분 2조원 포함)을 출자전환하는 것이 골자다. 그러나 상당수 시중은행장들은 “이 같은 `땜질식 처방`보다는 아예 구촉법을 적용하거나 청산시키는 편이 낫다”며 강력히 반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율 공동관리가 현실적인 대안=금융당국은 그러나 법률적인 검토 결과 구촉법 적용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LG카드가 구촉법의 테두리에 들어갈 경우 무려 8조7,000억원에 이르는 ABS가 한꺼번에 조기상환청구(트리거)조항에 걸리면서 당장 유동성 부족으로 영업을 중단해야 할 상황에 처한다는 것이다. 이밖에 구촉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연기금이나 일반법인이 갖고 있는 채권도 7조원이 넘어 사실상 이를 통제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채권단은 이에 따라 이날 오후 채권금융기관 임원회의를 열고 자율 공동관리 추진에 대한 수용여부를 30일까지 통보해 달라고 다시 요청했다. 채권단은 만일 자율 공동관리로 결론이 날 경우 과거 신한은행이 제주은행을 위탁경영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특정은행에 경영을 맡겨 정상화를 추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채권단의 한 고위관계자는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장이나 채권단의 손실 등을 감안할 때 청산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은 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현재로선 자율 공동관리가 최선의 대안”이라고 말했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