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단독]인도와 8월 원자력협력 협정 체결…한국형원전 인도시장 진출 탄력받을 듯

우리 정부가 이르면 오는 8월 인도와 원자력협력 협정을 체결한다. 한국전력도 조만간 인도 원자력공사와 공동개발계약(joint development agreement)을 맺을 예정이다. 이에 따라 한국형 원전의 인도시장 진출이 보다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원전수출에는 해당국과의 원자력협정 체결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15일 외교통상부ㆍ지식경제부ㆍ한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인도와 원자력협력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을 통해 이달 내에 문안 합의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정부 핵심관계자는 “이번 협상에서 사용 후 핵연료 문제 등 큰 쟁점들을 대부분 해소함에 따라 하반기 내, 이르면 8~9월 중 인도와 원자력협력 협정을 맺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한전은 지난해 8월 인도 원자력공사와 ‘원전개발 및 운영 등 원전사업 상호 협력 협정(MOU)’을 체결하고 한국형 원전(APR1400) 건설 타당성 공동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공동조사는 현재 막바지 단계에 있으며 양국 간 원자력협력 협정이 체결되면 한전은 인도 원자력공사와 공동개발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인도는 현재 원전 19기(4,183㎿)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2만㎿, 2032년까지 6만3,000㎿ 규모로 용량을 늘릴 계획을 갖고 있다. 국내 원자력 관계자는 “정부 간 협정이 체결되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지를 알아보는 등 구체적인 진척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간 원자력협력 협정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보장하고 핵물질ㆍ장비 등의 이전을 원활히 함으로써 원전 분야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인도는 이미 미국ㆍ프랑스 등과 원자력협력 협정을 맺고 있어 한국형 원전의 인도 수출을 위해서는 협정 체결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전의 한 고위관계자는 “정부 차원의 접근과 발전사업자 간 협력으로 인도 틈새시장을 개척할 것”이라며 “수의계약에 의한 전략적 수주를 추진하겠다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아랍에미리트(UAE)에 한국형 원전 수출의 쾌거를 이룬 우리나라는 터키와도 양국 정부 간 원전협력 MOU를 맺어 시노프 지역 원전사업을 사실상 수주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지난 13일에는 베니그노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이 “자국의 전력난 해소를 위해 한국형 원전 건설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히는 등 여러 국가들로부터 끊임 없는 러브콜을 받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